총 7개
-
방주교회2024.09.131. 교회론 1.1. 칼 바르트의 교회론 1.1.1. 교회의 본질 바르트는 교회의 본질에 관하여 새로운 기초를 세웠다. 바르트는 교회를 "사건"(Ereignis)으로 본다. 하나님께서 말씀하시고 인간은 그 말씀을 듣는 사건이 일어나는 그곳이 바로 교회이다. 이는 교회를 제도나 건물, 장소가 아닌 "사건"으로 파악한 것이다. 이는 기존의 교회 개념에 큰 충격을 주었다. 에밀 부룬너의 말씀의 사건 개념을 받아들인 호켄다익은 교회를 "하나님의 행위"로 보며 고정된 장소가 없고 나그네로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교회를 제도나 건...2024.09.13
-
한국교회 예배 갱신을 위한 방법2024.09.231. 예배에 대한 고찰 1.1. 예배의 의미와 역할 예배의 의미와 역할은 다음과 같다. 예배는 인간이 하나님께 경배하며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신앙적 생활을 영위하는 종교적 행위이다. 초대교회부터 이어져 온 예배의 본질은 하나님을 찬양하고 그분의 구원의 은혜에 대해 감사하는 것이다. 예배를 통해 신자들은 하나님과의 교제를 나누고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실천하며, 하나님께 자신을 바치게 된다. 예배의 핵심적인 역할은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과 유지이다. 인간은 죄로 인해 하나님과 단절되었지만, 예배를 통해 하나님의 용서와 은혜를 ...2024.09.23
-
리차드백스터2024.09.301. 리처드 백스터의 『참된 목자』 1.1. 저자 소개 리차드 백스터는 1615년 영국의 쉬롭셔에 있는 로우톤에서 태어났다. 그는 법률가가 되기 위해 옥스퍼드 대학에 가기를 원했지만, 실상 경제적인 어려움 등으로 정규 교육을 받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그의 형편을 아는 몇몇 목사들의 권유로 인근 사립학교의 교장 리차드 윅스테드 밑에서 개인 수업을 받게 됐다. 그가 비록 공식적인 교육은 받지 못했지만, 그의 '거룩한 지식'은 정규 대학 교육을 받은 사람들과 견줄 정도로 탁월했다. 1638년 신학을 공부한 후 영국국교회에서 사제서품...2024.09.30
-
현대의 누가 성령론2024.12.031. 신학의 방법과 역사 1.1. 신학의 정의와 방법 조직신학은 성서와 전통에 구현된 그리스도교의 신앙 내용을 유기적으로 연관된 하나의 체계로 구성하는 학문을 뜻한다. 이전에는 교의학이라 불리기도 했으며, 가톨릭에서는 사변신학으로 부르기도 한다. 신학이란 본래 그리스 철학자들이 신들에 대한 이야기를 철학적으로 해명하거나 만유의 궁극적 원인을 추구하는 철학적 우주론을 지칭하는 말이었다. 그러나 초기 교부들은 그리스도교의 진리를 그리스 사상과 차별화하기 위해 의식적으로 신학이란 말을 사용하지 않았다. 동방교회에서는 7세기에 요하네스가...2024.12.03
-
존 칼빈의 말씀사역 정신과 현대 목회자의 말씀사역 고찰2024.12.111. 서론 본 글은 16세기 유럽에서 있었던 칼빈과 제세례파의 권징에 대한 연구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두 진영의 권징의 특징을 살펴서 역사적 사건의 본질을 살펴보는 데 있다. 사건종교개혁의 목적은 '회복'에 있었다. 종교개혁은 복음의 회복, 교회의 회복, 성례의 회복, 말씀의 회복이 일어나 당시 카톨릭의 부정부패 속에서 한 줄기 빛을 밝혔다고 볼 수 있다. 그러한 회복의 발걸음 속에서 존 칼빈은 교회와 도시가 하나님을 진정으로 따르는 곳이 되기를 바랐다. 그렇기 위해 칼빈은 성경적인 교회와 성도, 도시를 위하여 '권징'이라는 교회...2024.12.11
-
칼빈의 참된 교회의 표지와 현대 교회가 잃어버린 참된 교회의 표지2024.12.111. 목회 철학 1.1. 목사란 누구인가? 목사란 노회의 안수로 임직함을 받아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파하고 성례를 거행하며 교회를 치리하는 자이다. 성경에 이 직분 맡은 자에 대한 다양한 칭호가 있으며, 이는 그 책임을 나타낸다. 목사는 양의 무리를 감시하는 목자이며, 교회 안에서 그리스도를 봉사하는 그리스도의 종이자 사역자다. 또한 엄숙하고 지혜롭게 행동하여 모든 사람의 모범이 되고, 그리스도의 집과 그 나라를 근실히 치리하는 장로이기도 하다. 목사는 하나님의 보내신 사자로서 거룩한 뜻을 전파하고,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화...2024.12.11
-
(1) 교회의 본질과 성격에 관하여 성경에 기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시오2024.10.301. 교회론과 성전신학 1.1. 박형룡의 교회론 1.1.1. 교회론과 성령론, 구원론의 유기적 관계 박형룡 박사는 교회론을 성령론 및 구원론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설명한다. 그는 "구원론이 그리스도의 구속을 개인의 종교생활에 적용하시는 성령의 사역을 말한다면 교회론은 구속받은 성도들이 서로 교통하는 교회와 단체적 종교 생활을 지도하시는 성령의 사역을 묘사한다."고 말한다. 즉, 교회론은 성령의 역사를 통해 개인의 구원을 교회 공동체로 확장하는 것을 다룬다는 것이다. 박형룡 박사에 따르면, 교회론에서 성령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2024.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