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엘리자베스 로프터스의 가짜 기억 이식 실험2024.10.141. 서론 지난 학기 강의 중 교수님께서 추천해주신 책이 있었다.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라는 책이었는데 어려운 심리학을 재미있게 풀어낸 거 같아 방학동안 읽어보았다. 그 중 가장 충격적이었던 장면은 엘리자베스 로프터스의 가짜 기억 이식 실험이었다. 우리는 과거의 수많은 추억을 기억에 의존한 채 살아간다. 그런데 그런 기억조차 거짓이 될 수도 있다니. 기억이 왜곡되거나 꿈과 기억을 헷갈리는 것에 대해서는 이해를 한다. 나도 항상 그래왔으니까, 그렇지만 존재하지 않는 기억을 사람에게 이식할 수도 있다는게 한편으로는 신기하고 또 한편...2024.10.14
-
한나 아렌트, 언론, 악의 평범성2024.11.141. 서론 현대 사회에서 인간의 행동과 의사결정에 관한 많은 질문들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심리학자들은 실험을 통해 인간의 본성과 행동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노력해왔다. 특히 2차 세계대전 이후 등장한 우려스러운 사건들은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더욱 강조하게 되었다. 이 서론에서는 심리학 실험과 그 결과가 현실에 어떻게 투영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인간 행동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고자 한다. 인간의 선악과 행동 양태가 단순히 개인의 기질이나 성향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황적 요인과 시스템적 영향에 의해 크게 좌우됨을...2024.11.14
-
스탠리 밀그램2024.10.201. 서론 라디오 방송에서 사회자가 시작 부분에서 오늘의 교훈 같은 경구나 외국의 연구조사 결과를 알려주는 경우가 많다. 외국 00대학의 연구 결과라든가 00대학원의 조사 결과라든가. 듣다보면 이 조사를 어떻게 할 수 있었을까 라는 생각이 간혹 들 때가 있다. 너무나 개인적인 부분을 들어내야 하기 때문이다. 개인적인 치욕이나 공포 두려움을 전제로 하는 이러한 조사는 자칫 윤리적인 부분을 등한시한 결과다. 만약 조사 목적과 동기가 무엇이었는지 사전에 고지했다면 조사에 과연 응했을까? 본인은 대부분 그렇지 못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 ...2024.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