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한국 궁중음식의 역사와 특징2024.09.221. 서론 우리나라는 아시아 동부에 위치하여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반도이며, 사계절의 구분이 뚜렷하고 기후의 지역적인 차이가 있다. 이런 자연 환경에서 생산되는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등의 재료는 다양하게 지역적 특성을 잘 살린 음식들이 고루 발달하게 하였다. 한반도에서는 BC 6000년쯤부터 신석기 문화가 시작되어 이때부터 신석기인들은 고기잡이와 사냥을 주로 하였으며 후기에는 원시 농경생활로 점차 바뀌었다. 이후 BC 2000~1500년에는 벼의 재배도 시작되었고, 밥이나 떡, 술 같은 단순한 조리음식도 행해졌다. 한편 ...2024.09.22
-
우리나라 궁중음식 신선로 조사2024.09.221. 서론 음식은 한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는 매우 큰 매개체인 동시에 수입원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이 자리 잡기 시작하면서 각 나라마다 자국의 음식문화를 전 세계에 알리고자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단순히 먹는 것이 아닌 조상들의 혼이 깃든 문화인 우리 한국음식을 전 세계에 알리고 쉽게 접근하기 위해서는 우리 음식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어야 하나 지금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우리 고유의 문화 정체성을 바탕으로 하여 한 민족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전통을 계승·발전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음식은 건강식이자 조상...2024.09.22
-
궁중음식2024.10.201. 조선시대 궁중음식 1.1. 개념 및 역사 조선시대 궁중음식은 조선의 건국과 함께 개성에서 한양으로 이어진 고려시대의 전통음식으로, 1970년 12월 30일 중요무형문화재 제38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알려진 궁중음식은 망국 이후 생존하였던 상궁과 궁녀들의 구전이나 손을 통해 전수된 것이다. 궁중음식에 대한 역사는 고려 말에서 조선조 성종까지 기록된 경국대전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건국 이후에는 진찬의궤, 진연의궤, 궁중의 음식발기, 왕조실록 등 문헌에서 의례와 관련된 상세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당시 궁중음식...2024.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