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고대 국어 해석의 한계2024.10.061. 국어사 연구와 고대 문헌 1.1. 국어사 연구의 중요성 국어사 연구의 중요성은 국어가 겪어 온 변화들을 밝혀 그 역사를 체계적으로 서술하는 데에 있다"" 국어사 연구는 국어의 역사와 민족의 역사를 함께 다룸으로써 우리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훈민정음 창제 이전에는 문자기록이 제한적이어서 고대 국어의 실상을 파악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국어사 연구의 중요성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1.2. 고대 문헌의 가치 고대 문헌의 가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오래된 자료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다. 사료...2024.10.06
-
석보상절 권62024.11.191. 중세 한국어 1.1. 석보상절 개요 1.1.1. 석보상절의 편찬 경위와 배경 석보상절은 세종이 세종 28년(1446) 3월에 죽은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당시 수양대군이던 세조에게 명하여 편찬한 석가의 일대기이다. 현전 월인석보(권1)의 권두에 있는 수양대군의 '석보상절서'와 그가 후에 왕위에 오른 뒤에 쓴 '어제월인석보서'에 그 동기가 명시되어 있다. 이들 서문의 다음 구절에 잘 드러나 있다. "삼가 아뢰옵건대, 도로 가신 자를 기리는 방법은 독경만한 것이 없사온데, 이제 그 뜻을 펴고자 하여 석...2024.11.19
-
석보상절 권112024.11.181. 월인석보에 관하여 1.1. 월인석보의 개요 월인석보는 조선 세조 때 편찬한 석가의 일대기로, 세종이 지은 『월인천강지곡』과 수양대군이 지은 『석보상절』을 합편한 국한문 혼용체의 불서이다. 월인석보는 1457년 도원군(덕종)의 죽음을 애도하는 뜻에서 세조가 편찬하였으며, 전체 25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월인석보의 편성은 『월인천강지곡』을 본문으로 하고 『석보상절』을 주석으로 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각권의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 부분은 서로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글자의 크기에 따라 월인천강지곡 부분은 큰 글자, 석...202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