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유사역사학 비판2024.10.221. 유사역사학의 특성과 영향 1.1. 유사역사학의 정의와 기원 유사역사학은 '서로 비슷하다'라는 의미의 '유사'와 '역사학'이 만나 만들어진 단어이자 pseudo history의 번역어이다. 유사역사학은 근대 이후의 현상으로, 1815년 찰스 A. 엘튼이 자신의 책에서 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의 경연에 대한 전승은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유사역사학'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하며 비판했다. 따라서 '유사역사학'은 꽤 유서 깊은 사이버 학문 또는 거짓 학문이다. 유사역사학은 시간이 흐르면서 많은 지지를 받았지만, 동시에 많은 비판...2024.10.22
-
문명의 정의2024.09.251. 뉴노멀 시대의 인문학적상상력 1.1. '뉴노멀'의 정의와 역사적 배경 '뉴노멀'이란 용어는 21세기 초반 9.11 테러와 글로벌 금융위기 등의 전지구적 위기 상황 속에서 '정상 상태'의 의미를 가늠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러한 전 세계적 위기 상황으로 인해 과거의 사회, 경제, 정치 체제 등이 해체되고 새로운 정상 상태가 요구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뉴노멀'은 일상적인 개념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재택근무와 비대면 수업 등 경제와 교육 활동이 가상현실의 영역으로 옮겨지고, 마스크...2024.09.25
-
유사 역사 비판2025.08.301. 유사 역사 비판 1.1. 유사역사학이란 무엇인가? 유사역사학이란 과거에 믿었던 내용이 새로운 자료에 의해 틀렸음이 밝혀짐에도 불구하고, 이를 단순한 오류가 아닌 의도적으로 잘못된 정보를 날조해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환단고기』와 같은 책들이 '상고시대'에 한민족이 아시아를 지배했다고 주장하며 국수주의적 이데올로기를 퍼뜨리고 있다. 이러한 주장은 국가의 권위를 앞세워 국민을 통제하려는 심리에서 비롯되며, 그 기저에는 열등감이 자리 잡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역사를 가문의 역사처럼 여겨, 객관적인 연구를 거부하는 ...2025.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