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개
-
국소의치2024.11.101. 국소의치 제작 과정 1.1. 인상 채득 국소의치를 위한 인상 채득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장착과 철거에 따른 지대치의 유지, 지지, 안정을 위한 해부학적 인상 채득과 의치상 하부 조직부에서의 지지, 유지, 안정을 위한 기능학적 인상 채득이 있다. 인상 채득을 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구멍이 있는 트레이를 선택한다. 이때 인상재료가 충분한 두께로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약간 큰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상악에서는 구개 부위가 V자 모양으로 깊을 때는 이 부위와 tuberosity 부위와 vibrating line 부위에도 bas...2024.11.10
-
국소의치 제작과정2024.11.101. Flexible Denture 1.1. Flexible Denture의 정의 및 필요성 현대의학의 발달로 고령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부분 무치악이나 완전 무치악 환자의 비율이 증가되고 있다. 고령 환자는 전신적 질환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므로 보철 치료 시에도 전신적인 건강 상태 및 경제적 여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고령의 환자나 전신적 질환자에 있어 임플란트 등의 치료보다 가철성 국소의치가 선호되고 실제로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기존의 금속-아크릴 국소의치는 많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전치부에 금속 클래스프가 위치하여 ...2024.11.10
-
국소의치2024.11.131. 국소의치 기공학 1.1. 하악 국소의치 제작 1.1.1. 주연결장치(lingual bar) 주연결장치(lingual bar)는 하악 국소의치 제작 시 주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치은연으로부터 4mm 떨어진 연조직부에 해당하는 부위에 주연결장치가 지나가게 되는데, 이 부위에 24게이지 시트 왁스를 깔아준다. 이는 연마 시 주연결장치가 얇아지는 것을 보상해주기 위한 조치이다. 그 위에 6게이지 half pear form 왁스를 압접하여 주연결장치를 형성한다. 주연결장치의 상하연은 가열된 조각도와 추가 납을 사용하여 봉합시킨다....2024.11.13
-
임시치간만들기2024.10.201. 치과 보철 치료 1.1. 단일치 수복물 1.1.1. 금속관 금속관은 심미적 기대를 하지 않는 구치부 수복 시 치관 외면 전부를 금속으로 피개하는 금관이다. 주조(casting)를 통해 제작되며, 대부분 2개 이상의 순금속이 혼합된 합금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임상에서는 금(Au)이 함유된 귀금속 금관은 gold crown, 금이 함유되지 않은 금관은 metal crown이라고 부른다. 금속관의 장점은 도재관에 비해 치질 삭제량이 적고 강도가 높아 잘 파절되지 않으며, 치경부의 적합도가 좋다. 단점으로는 심미성이 불리하여 ...2024.10.20
-
국소의치 구성요소 금속구조물2025.03.261. 국소의치 구성요소 금속구조물 1.1. 국소의치의 구성 국소의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치아 결손 부위를 복원하기 위한 의치 본체와 이를 지지하고 구강 내에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금속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다. 의치 본체는 레진으로 제작되며 결손된 치아와 치아 주변 조직을 잘 재현한다. 금속 구조물은 의치 본체의 유지 및 지지를 담당하는데, 훅(clasp), 바(bar), 연결자(connector) 등으로 구성된다. 금속 구조물은 주로 치아나 임플란트에 연결되어 의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금속 구조물은 치아 결손...2025.03.26
-
국소의치 구성요소 금속구조물2025.03.261. 서론 1.1. 국소의치 구성요소 개요 국소의치는 일부 치아만 상실된 부분틀니 환자를 위해 제작되는 보철물이다. 국소의치는 치아와 치조골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상실된 치아를 대체하는 것이 목적이다. 국소의치는 크게 금속구조물과 인공치, 인공치은 등으로 구성된다. 금속구조물은 국소의치의 주요 지지대 역할을 하며, 의치의 안정성과 유지력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금속구조물은 의치와 자연치아 사이의 힘의 전달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공치와 인공치은은 상실된 치아와 치은을 대체하여 심미성을 높이고 저작기능...2025.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