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지휘법연구2024.11.04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이 과제는 "한국과 한국군의 대테러리즘 발전방향"을 다루는 것으로, 현재 정부와 군의 대테러리즘 법적근거와 수행체계를 본론으로 제시하고 연구자가 생각하는 발전방향을 결론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서울 올림픽 개최 확정에 따라 테러 대비 인식이 확대되었고, 1982년 대통령 훈령 제47호 국가 대테러 활동지침이 제정되었다. 이후 테러방지법 제정이 추진되었고, 2016년 우여곡절 끝에 '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이 제정되었다. 이와 더불어 국방부는...2024.11.04
-
국방개혁 2.02024.10.261. 서론 우리 국군의 2006년부터 시작된 국방개혁과 전력의 정예화는 급변하는 안보 환경과 변화를 거듭하며 성장하고 있다. 이는 정부의 교체 시기마다 전력 정예화 등의 국방개혁을 다양한 개혁 방향으로 추진해 왔으나 이러한 개혁으로는 급변하는 세계 군사 정세에 대응하기에는 부족한 수준이었다. 이러한 국방개혁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기는 보통 참여정부 시기인 2006년으로 보고 있다. 이 시기의 국방개혁 2020이 계획도고 발표되면서 상비전력 위주의 전략적 보강이 대폭 이루어지며 현재도 점증적으로 진행 과정에 있다. 이명박 정부하의 2...2024.10.26
-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정책의 추진과정 연구2024.10.291.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요인 분석 1.1. 개요 1.1.1.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대한 이념적 논쟁 배경 참여정부 집권 당시 노무현의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결정에 대한 지지 또는 비판이 미디어를 통해 강하게 확산되었다. 당시 전작권 전환에 대한 이러한 미디어의 지지 또는 비판은 기본적으로 "노무현 대통령의 개인적 심리적 요인이 전작권 전환 결정에 강하게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었다. 노무현 대통령의 전작권 전환 결정은 이에 대한 진보 지지층의 강력한 지지와 보수층의 강렬한 반대로 특징지어졌다. 이러한 정책결정을 ...2024.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