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교육 공무직 직업윤리2024.09.231. 교직윤리의 의의 1.1. 교원의 정의와 윤리의 개념 교원(敎員)이란 유치원에서 대학에 이르기까지 각급 교육기관에서 일정한 자격을 가지고 아동과 학생을 직접 지도하고 교육하는 사람, 즉 학생을 가르치는 사람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교사(敎師)는 직업으로서 일정한 지식·기능을 교수하고 매개하는 자를 말하며, 주로 학교교육에서의 교사를 가리킨다. 이에 비하여 선생(先生)이나 스승이라는 말은 훌륭한 가르침을 베푼 사람에 대한 존경의 의미가 강하게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윤리(倫理)란 사람으로서 마땅히 행하거나 지...2024.09.23
-
공무원보고서작성2024.11.151. 서론 국민은 공직자들에게 위법이나 부당한 압력에 굴하지 않고 국가와 국민을 위한 정책을 결정하고 실행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고위공직자 인사청문회에서 도덕성 문제가 반복적으로 제기되며, 후보자들이 다양한 도덕적 흠결로 낙마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특정 정권을 넘어 우리 사회 전체의 공정성과 정의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공직자 개인이 견지해야 할 도덕성에 대한 구체적인 고민이 필요하다. 공무원 윤리의식 강화와 반부패는 모든 정부의 주요 관심사이며, 이는 정부 행정에 대한 신뢰와 정책 수용성을 높...2024.11.15
-
지방임기제공무원2024.08.301. 서론 1.1. 지방공무원법과 국가공무원법의 유사성 지방공무원법과 국가공무원법은 대체적으로 유사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지방공무원이 지방행정을 수행하는 공무원이기는 하지만 국가공무원과 마찬가지로 국가공직을 구성하는 일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방공무원법은 국가공무원법의 내용을 거의 그대로 수용하여 만들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방공무원법은 국가공무원법의 규정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반영하여 일부 조문을 변형하거나 추가하는 방식으로 제정되었다. 예를 들어 지방공무원의 경우 거...2024.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