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평행판 축전기2024.09.251. 전기용량의 정의 1.1. 전기용량의 정의 전기용량의 정의는 크기가 같고 전하의 부호가 서로 반대인 두 극판이 있다고 가정할 때, 극판은 도체이므로 등퍼텐셜면을 이룬다. 즉, 극판 위 모든 곳의 전기퍼텐셜은 같다. 하지만, 서로 다른 두 극판 사이에는 분명 퍼텐셜 차이가 존재할 것이다. 이때 우리는 단위 퍼텐셜에 대해 흐르는 전하량을 전기용량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전기용량(C)은 극판 사이의 퍼텐셜차(V)에 따라 생성된 전하(q)가 얼마나 많이 모이는가를 알려주는 척도이다. 즉, 전기용량이 크면 클수록 더 많은 전하가 모인다....2024.09.25
-
평행판 축전기의 전기용량2024.10.061. 축전기 이론 1.1. 전기용량의 정의 전기용량(Capacitance)은 전기적 퍼텐셜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물리량이다. 크기가 같고 전하의 부호가 반대인 두 도체판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면 전하가 양 극판에 모이게 되는데, 이때 단위 퍼텐셜차에 대해 생성되는 전하의 양을 전기용량이라 정의한다. 즉, 전기용량(C)은 극판 사이의 퍼텐셜차(V)에 따라 생성된 전하량(Q)의 비로, Q=CV의 관계를 갖는다. 전기용량의 단위는 파라드(F)이며, 실제로는 마이크로파라드(μF), 나노파라드(nF) 등의 단위가 더 널...2024.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