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2개
-
십자가 위의 예수2024.09.171. 삼위일체론에 대한 신학적 성찰 1.1. 현대 신학계의 삼위일체 르네상스와 몰트만의 공헌 현대 신학계의 삼위일체 르네상스와 몰트만의 공헌은 다음과 같다. 위르겐 몰트만은 현대 신학계에 '삼위일체 르네상스'시대를 맞이하게 한 주역(主役)으로, 삼위일체론 이외에도 그의 '희망의 신학'을 기저에 둔 활발한 저술활동을 통해 학술적 가치뿐만 아니라 실천적-목회적 측면에서도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몰트만은 삼위일체론을 전개하면서 서방교회의 전통적 삼위일체론과 동방(정)교회적인 삼위일체론을 자주 비교하며 자신의 삼위일체론을 설명하고...2024.09.17
-
성경이야기와 구원 드라마2024.09.211. 서론 성경에 대한 새로운 관점(역사적, 신학적, 문학적)을 해석학 시간을 통해 배우게 되었다. 성경을 단순히 신학적인 관점에서만 너무 보려고 하다보니 역사적 정황들이나 문학적인 요소들이 배제되어 보다 액티브하고 살아있는 말씀으로 다가오자 못했던 것 같다. 성경은 철저하게 역사적인 연대기를 보여주고 있으며, 주해를 통해 부족하지만 역사적, 신학적, 문학적인 접근에 근거한 주해를 시작해 보려 한다. 2. 구원의 보장과 탈락 2.1. 종말론적 시간 우리는 역사 가운데 평범한 시간을 살아가지 않는다. 성경이 말씀하는 이 시대의 성격...2024.09.21
-
하늘의 법정, 복음의 변증2024.09.231. 사도행전에 대한 이해 1.1. 사도행전의 장르와 특징 1.1.1. 사도행전의 구조적 문제 사도행전의 구조적 문제는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는 사도행전의 구조적인 문제이다. 사도행전은 누가복음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데, 이 두 저작물의 구조와 문체가 서로 다른 점이 있다.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서술 방식과 구성이 상이하여 이들 간의 연관성이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둘째는 사도행전의 역사성에 대한 인식의 문제이다. 사도행전은 초대 교회사를 다루고 있어 역사적 사실성이 강조되지만, 과연 그 내용이 역사적 사실인지에...2024.09.23
-
신학논문2024.09.141. 서론 1.1. 연구 목적 개혁주의적 성령론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학교 채플이 끝나고 불이 꺼지면 방언으로 기도하는 전도사님들이 꽤 있다. 연구자는 몇몇 동료 전도사님들이 공개적인 장소에서 방언으로 기도하는 모습을 보면서 우리 학교와 교단의 정체성에 대해서 고민하게 됐다. 연구자가 학교에서 배운 바로는 우리 교단의 신학은 성령 은사중지론이라고 알고 있다. 그러나 목회현장은 말할 것도 없고 학교 채플 시간을 보면 은사중지론의 입장을 고수하는 교단이 맞는가 싶은 생각이 들 때가 있다. 경험적으...2024.09.14
-
성경이야기와 구원드라마 요약2024.09.251. 구원의 보장과 탈락 1.1. 들어가는 말 이 주제는 교단마다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다. 교단의 분열에는 정치적 문제가 포함되어 있지만, 조직신학적 측면에서 보면 구원론에 관한 갈등이 가장 첨예하지 않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구원의 보장과 탈락, 모두 가능한 이야기다. 무슨 말인가? 나는 내 구원이 탈락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지금 나는 구원의 확신과 안정감을 갖고 있다. 이 주제는 사전 설명을 필요로 한다. 구원이라는 주제는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종말론과 아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님 나라의 개념과도 연...2024.09.25
-
청교도의 설교2024.10.061. 참된 목자와 설교자 1.1. 자아성찰의 중요성 참된 목자와 설교자에서 자아성찰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목회자로서 자신을 돌아보아야 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나님을 바로 알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 자신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인간이 하나님을 떠나서 창조물과 자신을 알고자 하면 참된 지식을 잃게 된다. 따라서 창조주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그에 의지하여야 한다. 더불어 목회자는 자신의 죄악적 경향성을 지니고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거룩하지 못한 사람이 거룩한 직분을 가진다고 해서 구원을 받는 것은 아니다. ...2024.10.06
-
성령을 아는 지식2024.10.161. 서론 1.1. 연구 배경 개혁주의적 성령론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본 연구를 시작했다. 학교 채플 시간에 방언기도하는 전도사님들을 보며 우리 학교와 교단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다. 우리 교단이 성령 은사중지론을 신학적 입장으로 가지고 있지만, 목회현장과 학교 채플에서는 이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었기 때문이다. 성경에 근거한 성령님은 어떤 분이신지 바르게 알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혁주의적이며 성경적인 성령에 대한 이해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성경적이고 개혁주의적인 성령론을 ...2024.10.16
-
연세신학대학원2024.10.201. 사도 바울의 생애와 신학 1.1. 저자 소개 및 서문 책소개 저자는 서문에서 이 책을 통해 사도 바울의 복음을 발견하여 21세기를 맞아 위기에 처한 한국교회의 개혁과갱신에 기여하기를 소망한다고 밝히고 있다. 저자 소개 최갑종 - 현재 천안대학교와 기독신학대학원 대학교 신약학교수이며, 바울연구에 있어서 국내의 최정상에 서 있는 학자이다. 1985년도에 저술, 출판한 는 국내 최초의 전문적인 주기도문 연구서로 알려져 있으며, 1992년 이후로 출판한 , , , , 등은 국내의 여러 신학대학원에서 필독서로 소개되고 있다. 장...2024.10.20
-
바울서신기록목적2024.10.261. 바울서신의 내외적 특징 1.1. 바울서신의 개요 바울서신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바울서신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대한 고백이다. 교회에 보낸 서신 9권과 개인에게 보낸 서신 4권이며 총 1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의 의미를 율법과 복음의 관계로 바르게 제시하였다. 필체는 성령의 불붙은 논리이다. 지식인답게 논리적이며 성령의 감동을 기록하였다. 또는 교리적인 해석을 예리하게 풀어내고 자신의 개인적인 체험과 고백의 연결과 성도들의 실천적 과제들도 연결된다. 여기에 통찰력 있는 신학자이고, 사랑이 많...2024.10.26
-
르네상스가 유럽에 미친 영향 근거적으로2024.09.291. 종교개혁 시기의 주요 인물과 사상 1.1.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은 16세기에 일어난 기독교 내부의 개혁 운동으로, 당시 교회에 만연했던 부패와 타락을 바로잡고자 하는 노력이었다. 그는 주로 면죄부와 같은 문제에 대해 교회의 교리를 근원적으로 비판하며 개혁을 주도했다. 마르틴 루터는 독일의 제후들과 손을 잡고 교회의 신학적, 윤리적 개혁에 중심을 두었다. 그는 교황의 권위와 충돌하면서 교황이 지배하는 로마 가톨릭과는 구별되는 새로운 신교를 창시하였다. 기존의 교회 개혁과 달리 루터는 교회의 부정적인 ...2024.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