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다니엘의 환상 해석2024.10.101. 서론 1.1. 해석의 중요성 해석의 중요성은 결코 과소평가될 수 없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삶과 주변의 사건들을 해석하며, 특히 그리스도인들은 자신의 상황을 하나님과 연결시켜 해석하거나 성경 자체의 내용을 나름대로 해석하곤 한다. 해석은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를 간단하고 쉽게 정리해 주기 때문에 그 필요성이 매우 크다. 그러나 해석의 전제와 방법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같은 사건과 말씀에 대해서도 전혀 다른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1996년에 고등학생이었던 필자는 서울의 Y교회 C목사에 대해 절대적인 신뢰를 가지고 ...2024.10.10
-
열왕기상의 문학적 장르2024.12.171. 하나님 나라 관점으로 읽는 구약신학 1.1. 구약성경의 통일성과 문학적 접근 성경에는 정경으로서의 통일성이 있으며 문학으로서 장르가 있다. 성경 해석자가 성경 본문을 성경의 장르와 구조에 맞는 방식으로 바르게 읽기 위해서는 '본문 자체가 제공하는 관점'으로 본문을 보아야 한다. 성경의 개별적인 본문들은 성경 전체가 제공하는 관점으로 이해해야 하는데 성경 전체가 제공하는 관점은 개별적인 본문들을 반복해서 읽을 때 얻을 수 있다. 구약 성경은 본래 한 권의 책이 아니다. 성경은 천 년이 넘는 기간 동안 많은 저자들에 의해 개...2024.12.17
-
칭의론2024.11.261. 조나단 에드워즈의 칭의론 1.1. 배경 조나단 에드워즈(1703-1758)가 태어나 활동하던 시기는 이미 개혁파 정통주의가 견고히 자리매김을 한 이후였다. 에드워즈는 프란시스 투레틴으로부터 신학의 정교함을 배웠고, 윌리암 에임스로부터 교리의 실천성을 배웠다. 즉, 에드워즈는 개혁주의 전통으로부터 내용과 방법론을 모두 물려받았다. 에드워즈가 복음을 방어하고 전파하는 사명에 있어서 칼빈과 정통주의 모두로부터 영향을 받았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의 설교의 명쾌함과 힘의 진정한 원천은 그의 신학, 즉 하나님의 구속 사역에서 드러나는 ...2024.11.26
-
게할더스 보스 성경신학2024.11.111. 개선된 방법론의 모색 1.1. 개혁정통주의 신학의 방법론적 특징 개혁정통주의 신학의 방법론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종교개혁 운동에서 신학의 개혁은 신학 내용의 개혁과 신학 방법론의 개혁을 의미했다. 스콜라적 방법론에 대한 반발, 즉 중세 신학에 대한 반발이었다. 종교개혁 운동은 개혁정통주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신앙고백문을 통해 바른 가르침을 전했고, 가톨릭 교회와 다른 것을 규명하는 작업이었다. 신앙고백문의 작성은 신학 전반에, 신학의 정교화와 체계화의 발전을 가져왔다. 정통주의는 신학의 체계를 세우면서 스콜라 신학의...2024.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