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죽었으나 말하는 언약도2024.10.011. 성경의 언약 관계 1.1. 구약과 신약의 관계 구약과 신약의 관계는 하나님의 구속 역사에 있어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약은 신약을 예비하고 있으며, 신약은 구약의 약속들을 성취한다. 구약과 신약은 하나의 일관된 큰 흐름 속에 있는데, 이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완전하게 성취되고 표현된 언약이다. 옛 언약은 은혜의 언약에 의해 대치된 것이 아니라 그것에 의해 성취되었다. 옛 언약에 표현되었던 모든 것들이 새 언약에서 구현된다. 더욱이 옛 언약은 그리스도의 새 언약에서 그 최고의 의미를 발견한다. 그 새 언약은 인간을...2024.10.01
-
광야에서의 계약2024.09.301. 구약성경 오경의 이해 1.1. 창세기 1.1.1. 창조와 타락 창세기 1:1-3에 기록된 창조와 타락은 모세 오경의 첫 부분으로, 하나님께서 세상을 창조하시고 인간을 지으신 내용이다. 이는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셨다"는 선언으로 시작된다. 이를 통해 성경은 세상의 근원이 하나님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먼저 창조 과정을 살펴보면, 하나님께서는 무질서하고 공허했던 세상을 여섯 날에 걸쳐 체계적으로 질서 있게 창조하셨다. 첫째 날 하나님은 빛을 만드셨고, 둘째 날 물과 하늘을 나누셨다. 셋째 날 하나님은 육지와 바다를 구...2024.09.30
-
다니엘서 2장 예언 해석2024.10.101. 다니엘서의 종말론과 한국교회 1.1. 들어가며 다니엘서는 구약의 대표적인 묵시문학 작품이다. 묵시 문학의 강조점은 미래의 사건들에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또한 현대의 상황 속에서 그리고 있다. 다니엘서는 앞으로 겪을 역사적 운명을 종말적으로 계시해 주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하나님 나라"를 등장시킴으로서 "하나님 나라"에 대한 새로운 소망을 갖게 한다. 다니엘 7장은 다니엘서 전체에서 하나의 전환점을 이루는 부분이다. 다니엘 1-6장이 다니엘에 관한 이야기를 전한다면, 다니엘 7장부터 본문은 다니엘이 보고 들은 묵시를 전한다. ...2024.10.10
-
룻기 연구2024.11.081. 룻기 연구 주해 1.1. 서론 룻기 연구에 있어 서론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룻기는 수많은 문호들과 사람들의 사랑과 영감의 원천이 되었는데, 이는 그 문학적인 짜임새와 독특성에 기인하는 바가 크기 때문이다. 룻기는 여성이 주인공이며, 동시에 이방 여인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는 점에서 매우 독특한 가치와 의미를 지니고 있다. 룻기는 보편적인 소설의 형식을 띠고 있지만, 그 내용은 중요한 구속사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룻기는 사사기와 사무엘서 사이에 위치하여, 사사 시대의 혼란스러운 역사를 보여주면서도 다윗왕의 출현을 준비하...2024.11.08
-
조직신학 인간론 기독론 구원론 분석2024.10.311. 신학의 기초 1.1. 성경신학자 칼빈과 종교개혁 1.1.1. 성경 신전(神典)의 이해 성경 신전(神典)의 이해는 당시 모세가 지니고 있었던 세계관과 문화적 배경 하에서 해석될 필요가 있다. 성경은 하나님께서 친히 쓰신 것이 아니라, 성령의 감동을 통해 인간의 언어로 기록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경의 신적 권위와 권위는 단순히 글의 내용으로만 인정되는 것이 아니라, 성령의 역사와 함께 인정되어야 한다. 성경, 특히 창세기 1장의 창조기사는 당시 고대근동 지역의 문화와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다. 당시에는 하늘과 땅을 구분하는...2024.10.31
-
중세 교회사와 현대 교회의 문제 해결 방법2024.10.131. 르네상스 시대와 교회의 변화 1.1. 르네상스의 배경과 특징 르네상스의 배경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르네상스는 14~16세기에 걸쳐 유럽에서 일어난 문화운동으로, 학문과 예술의 부활과 새로운 발전을 의미한다. 르네상스는 프랑스어의 "renaissance", 이탈리아어의 "rinascita", "rinascimento"에서 어원을 찾을 수 있다. 르네상스는 신 중심의 사상과 봉건제도로 인해 개인의 창조성이 억압받던 중세에서 벗어나,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문화를 이상으로 삼아 이를 부흥시키고자 한 운동이었다. 이를 통해 문화와...2024.10.13
-
강웅산2024.08.261. 구원론 개관 1.1. 구원 의미의 다층성 기독교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어 가운데 하나가 "구원"이라는 단어이다. 성경은 예수를 믿음으로 구원을 얻는다는 약속을 기록하고 있다. 구원이라는 단어 하나가 동시에 두 사건을 칭하기 때문이다. 하나는 "하나님이 우리를 위해 이루신" 구원이고, 다른 하나는 "내가 예수를 믿음으로 받게 되는" 구원이다. 이 두 사건은 우선 시간-공간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사건임이 분명하다. "구원"이라는 한 단어가 2000년 전에 그리스도가 완성한 구원과 지금 믿음으로 내게 주어지는 구원 모두를 가리...2024.08.26
-
신명기 16장2024.08.281. 서론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절기는 과연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본 서론은 시작된다. 성경에 기록된 이스라엘의 절기는 오늘날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쉽게 와 닿지 않는다. 이는 수천 년이 넘는 시공간적 상이성 때문일 것이다. 이런 이유들로 절기를 소홀히 지나치기에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기독교의 뿌리가 되는 이스라엘 유대교는 절기축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유대교 절기를 소홀히 지나치는 것이 아니라 자세히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본서는 신명기 16:13-17을 본문으로 ...2024.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