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확정적 법규범과 법원리 규범의 차이2024.10.101. 서론 비교법학(比較法學)이란 외국법과 국내법을 비교분석하는 법학의 한 분야를 말한다. 1900년의 파리 만국박람회 개최를 계기로 하여 프랑스의 법학자 레이몽 살레유가 주동이 되어 비교법의 국제회의가 파리에서 개최되었고, 그 후 비교법학이 세계적으로 활발히 연구되었다. 비교 법학이란 한 개의 외국 법률 제도의 연구인 외국법 연구를 그 기초적 부분으로서 포함시키면서 복수의 국가의 법률 제도의 비교 연구를 행하는 학문을 말한다. 비교 법학은 2개국의 섭외 관계의 처리나 여러 나라에 걸친 통일적 법전의 편찬이라는 실천적 목적 때문에 ...2024.10.10
-
현대인의생활법률2024.10.311. 서론 법은 국가에 의하여 강제되는 사회생활 규범의 하나이다. 즉, 법은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면서 제기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생겨난 것이다. 따라서 법은 시간적, 장소적, 인적 효력의 타당성을 따져 그 영향이 미친다. 이에 최근에 공개수배로 우리나라를 떠들썩하게 했던 가평 계곡 살인 사건에 대해 학습범위 내에서 학습한 개념을 적용해서 생각해보도록 하겠다. 2. 현대인의 생활법률 실제 사례 분석 2.1. 가평계곡 살인사건 2.1.1. 범죄의 성립요건 범죄란 인간의 행위가 위법하고, 법에 위촉되는 책임성이 있...2024.10.31
-
임웅 형법총론2024.12.161. 사실의 착오 1.1. 의의 사실의 착오란 행위자가 주관적으로 인식하고 실현하려는 범죄사실(구성요건적 사실)과 실제로 발생한 범죄사실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즉, 행위자가 행위 시에 고의의 인식대상이 되는 실제로 발생한 구성요건적 사실(객관적 구성요건요소)을 인식하지 못한 경우이다. 따라서 객관적 구성요소가 아닌 것에 대한 착오는 사실의 착오가 아니다. 사실의 착오는 행위자의 고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고의는 모든 객관적 구성요건요소에 대한 인식을 요하는데, 사실의 착오는 이러한 인식의 전부...2024.12.16
-
사실의 착오에서 부합이론에 대한 고찰2024.12.031. 서론 법적으로 어떠한 행동을 '처벌을 받는 범죄행위'로 격상시키기 위해선, (1) 범죄행위의 구성요건, (2) 위법성, 그리고 (3) 책임 요건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처음에 해당하는 것인 만큼, 어떠한 행위 A가 구성요건에 해당하지조차 아니한다면, 다시 말해 구성요건적 해당성이 부존하면, 그다음 절차인 위법성과 책임은 당연히 논할 필요조차 없을 것이다. 어떤 이가 구성요건에 상당하는 행위를 했다면, 일반적으로 그에겐 해당 행위에 관한 '구성요건 해당성'이 인정된다. 민법에서의 간주나 의제에 해당하진 않더라도, 통상적인 경우 그...2024.12.03
-
형법총론요약2024.11.271. 범죄론의 일반적 개념 1.1. 범죄론의 의의 범죄론의 의의는 범죄가 성립하는가를 살펴보기 위한 일련의 검토과정 내지 시스템이다. 범죄론체계는 다양한 사실관계들에 대하여 통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검증도구를 제공하여 법 적용의 균질성과 통일성을 보장한다. 이를 통해 가벌성의 판단을 용이하게 해주고, 사건의 평등한 취급을 보장하며, 범죄행위의 불법내용을 명료하게 드러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형법학의 학습과 강의에도 편리함을 제공한다. 따라서 범죄론체계는 법률이 아닌 형법학자들이 오랜 기간 동안 작업한 이론의 산물로서, 절차를...2024.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