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성악설2024.09.261. 서론 성악설과 성선설은 인간의 본성에 대한 상반된 견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철학적 개념들이다. 순자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고 주장하는 성악설을,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주장하는 성선설을 펼쳤다. 이는 단순히 인간에 대한 이해의 차이뿐만 아니라 사회에 대한 바라봄과 해결방안에서도 큰 차이를 드러낸다. 성선설을 주장한 맹자는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선한 본성을 갖고 있다고 보았다. 그는 이를 사단(四端)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했는데, 이는 인간이 타고난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을 통해 드러나는 선한 마음이다. ...2024.09.26
-
신유학2024.12.211. 원시유학과 신유학의 비교 1.1. 공맹 도덕 철학의 인성론 1.1.1. 사상의 등장 배경 공자는 주 왕실이 쇠퇴하고 춘추시대가 도래하자, 많은 혼란이 야기되는 현실을 보고 그는 그러한 원인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였다. 첫째, 제후들이 지나치게 월권을 하고 있다. 즉, 주 왕실 기본 질서를 무시한 채 제후들이 권력을 맘대로 휘두르고 있다. 둘째, 약육강식을 자행하고 있다. 셋째, 제후들이 자신의 권력을 확대하기 위해 민들을 학대하고 있고 이에 민들이 고통받고 있다. 그리고 공자는 이러한 사회는 질서가 무너진 시기라고 주장하며 ...2024.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