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개
-
동양화 구도론2024.10.171. 구도의 일반 원리 1.1. 취함과 버림 취함과 버림이란 중요한 것은 남기고 불필요한 것은 제거하는 것이다. 구도를 잡을 때는 먼저 취함과 버림에 주의를 기울여야한 만다. 취하는 것이 없으면 그림에서 형상을 묘사할 수 없고 구고고 말할 수 없다. 버리는 것이 없으면 눈썹이나 수염과 같은 사소한 것까지 다 그리게 되어 주객의 구분도 없고 경중과 대소의 처리도 없게 되어 구도를 말할 수 없게 된다. 즉, 취함과 버림은 구도에서 매우 중요한 원리로서 작가가 그리고자 하는 핵심 대상을 부각시키고 불필요한 요소들을 제거함으로써 주객의 ...2024.10.17
-
인셉션 분석2024.12.051. 영화 '인셉션'의 장치와 분석 1.1. 새로운 소재의 도입과 영화적 장치 영화 '인셉션'에서는 사람의 무의식과 꿈을 소재로 다루는 새로운 시도가 돋보인다. 특히 이를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개연성 있게 재현하기 위해 영화적 장치들을 마련하였다. 첫째, '토템(totem)'이라는 장치를 도입하여 현실과 꿈의 경계를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토템은 등장인물이 자신이 무의식 속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도구로, 주인공 코브가 사용하는 팽이, 아서가 사용하는 주사위, 에리어든이 사용하는 체스말 병사 등이 이에 해당한다. 팽이가 계속해...2024.12.05
-
시퀀스별 분석 씬별분석 쇼트별 분석 싱글쇼트 미장센 분석2024.10.141. 서론 영화 완득이는 김려령의 소설 완득이를 성공적으로 영화화시킨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소설을 영화로 각색하는 과정에서는 언어를 영상으로 바꾸는 등의 작업이 쉬운 일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완득이는 담백하고 깔끔하게 이를 수행해냈다. 소설과 영화의 전혀 다른 특성들, 예를 들어 허용되는 길이와 깊이, 서술의 방법 등 근본적인 표현의 차이를 잘 극복하고, 소설을 읽은 입장에서도 괴리감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영화만의 매력을 잘 이끌어냈다. 전체적으로는 무겁지 않은 이야기 흐름을 선택했지만, 국제결혼과 외국인 노동자, 장애인 등 다양...2024.10.14
-
촬영 기법2024.10.081. 사진 촬영의 이해 1.1. 사진 구도의 중요성 구도는 사진 작품의 핵심적인 요소이다. 구도의 본질은 구성(organization)에 있으며, 구성은 질서에 있다. 질서는 주제의 모든 성분 및 화면의 모든 요소를 적절한 자리에 논리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좋은 구도는 조화된 구도, 즉 시각적 조화이다. 아름답게 조화된 음악이 귀를 즐겁게 하듯이 조화된 구도는 눈을 즐겁게 해준다. 반대로 조화되지 않는 소리가 불쾌하듯이 구도가 잘못된 사진도 시선을 이끌지 못한다." 화면의 배분비율, 장방형, 정방형 등 화면의 형태는...2024.10.08
-
쥘과짐2024.10.091. 영화 "쥘과 짐"의 영화사적 의미 1.1. 프랑스 누벨바그 운동과 영화 1950년 후반, 프랑스의 영화계에는 새로운 바람이 불어왔다. 이 시기에 새로운 양식으로 나타난 영화들을 누벨바그 영화라고 하는데, 누벨바그 영화는 프랑스 영화계 뿐만 아니라 전세계의 영화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누벨바그란 새로운 물결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영화사에 큰 획을 그었던 영화 운동이다. 대표적으로 프랑수아 트뤼포, 장뤼크 고다르, 클로드 샤브롤, 루이 말, 알랭 레네 등의 감독들이 누벨바그 운동을 주도하였고, 대부분이 젊은 신예 ...2024.10.09
-
바위에 뿌리내린 소나무2024.10.211. 서론 1.1. 시대적 배경 조선 후기의 미술은 15세기 중엽 세종 연간(1419~1450)을 전후하여 문예가 꽃피웠던 초기의 문화적 성숙기에 비견할 만한 훌륭한 업적을 이룩한 중요한 시기였다. 조선 초기의 민족문화와 미술의 발달이 성숙기였다면, 후기는 부흥기라고 볼 수 있다. 후기에는 기존의 부당한 사회적 여건이나 정치제도의 개혁을 모색하고, 신분제도의 개선을 주장하며, 다양한 학문적 연구에 실증적인 태도를 취하는 실학이 영조와 정조를 거쳐 순조기에 이르며 극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정치와 사회 분야뿐만 아니라 한국...2024.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