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개
-
유방암 오심2024.09.251. 유방암 1.1. 정의 및 분류 유방암은 유방에 발생하는 모든 악성 종양을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유방에 비정상적인 조직이 계속 자라거나 다른 장기에 퍼지는 치명적인 병이다. 유방암의 기원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침윤성 유관암은 유관을 이루고 있는 세포에서 기원한 암으로 암이 유관의 기저막을 침범한 경우이며, 전체 유방암의 약 75~85%를 차지하는 가장 대표적인 유방암이다. 침윤성 소엽암은 소엽을 이루는 세포에서 기원한 암이다. 유관 상피내암(비침윤성)은 유관을 이루는 세포에서 생긴 암으로 유관의 기저막을 침범하...2024.09.25
-
항암화학요법 교육안2024.09.301. 항암 화학요법 1.1. 항암화학요법이란? "항암화학요법"은 암을 치료하기 위해 세포독성 약물을 체계적으로 투여하는 것으로서, 치료목적은 정상세포의 과도한 파괴 없이 유해한 모든 암세포를 파괴하여 완치, 전이 예방, 고통 완화를 달성하는 데 있다. 즉, 항암화학요법제는 암세포의 DNA에 직접 작용하여 DNA의 복제, 전사, 번식과정을 차단하거나 대사과정에 개입하여 핵산 전구체의 합성을 방해하거나 암세포의 분열을 저해하는 약제를 말한다. 이를 통해 전체 암세포 수를 일정 비율로 파괴하는데, 이를 "세포살상이론(cell-kill ...2024.09.30
-
구강암 통증간호2024.09.221. 구강암 1.1. 병태생리 구강암은 구강에 생긴 암 세포로 이루어진 종괴(덩어리)이다. 악성 종양의 종류로는 편평 상피세포암 종이 87%로 가장 흔하고 그 밖에 소타액선암, 육종(sarcoma), 림프종(lymphoma), 흑색종(melanoma) 등이 있을 수 있다. 구강암은 입안의 혀, 혀밑바닥, 볼점막, 잇몸, 입천장, 후구치삼각, 입술, 턱뼈 등에 발생하며 이를 총칭하여 구강암이라고 한다. 구강암의 90% 이상은 입 안의 점막을 구성하는 편평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편평 상피세포암이다. 이외에 구강 점막의 작은 침샘에서 ...2024.09.22
-
간호연구 필요성2024.11.051. 구강 냉요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환자의 구내염, 활성산소, 염증성 사이토카인, 구강 안위감에 미치는 효과 1.1.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Sonis [3]의 구내염 발생 모델에 근거하여 항암 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 냉요법이 구내염, 활성 산소, 염증성 사이토카인, 구강 안위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1.2. 연구의 필요성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과정에서 초래되는 구내염을 예방하고 구강 불편감을 완화 시키는 중재가 필요하며, 구내염 진행 과정에서 생리적 지표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간...2024.11.05
-
항암 논문 3개2024.10.031. 항암화학요법 환자의 간호중재 1.1. 구강 냉요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의 구강 건강에 미치는 효과 구강 냉요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의 구강 건강에 미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구강 냉요법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의 오심, 구토, 구내염, 구강통증 감소에 효과적인 중재방법이다. 구강 냉요법은 얼음조각을 사용하여 입안을 차갑게 하는 방법으로, 이를 통해 항암제가 흐르는 혈류를 감소시켜 구강점막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구강 냉요법을 받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항암화학요법 차수에 따른...2024.10.03
-
돌발진2024.11.121. 바이러스성 감염 1.1. 볼거리(유행성 이하선염) 1.1.1. 발생빈도, 원인 mumps virus는 사람이 유일한 숙주이며, 겨울이나 봄에 주로 발병한다. 예방접종 도입 전에는 주로 학령기 아동에게 발병하였지만, 백신 도입 이후에는 15세 이상 연령층의 발병 비율이 증가하였다. 타액의 비말감염이나 타액을 통한 공기전파 또는 직접 접촉으로 전염되며, 바이러스는 침범 후 호흡기 세포에서 1차 증식 후 혈행성으로 전신에 퍼져 침샘과 여러 장기에 침범한다. 침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는 기간은 침샘 비대 7일 전부터 7일 후까지이며...2024.11.12
-
간호연구 목적2024.12.251. 구강 냉요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환자에 미치는 효과 1.1.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Sonis [3]의 구내염 발생 모델에 근거하여 항암 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 냉요법이 구내염, 활성 산소, 염증성 사이토카인, 구강 안위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과정에서 초래되는 구내염을 예방하고 구강 불편감을 완화시키는 중재가 필요하며, 구내염 진행 과정에서 생리적 지표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 전략이 요구되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를 대...2024.12.25
-
간호학과 병리학2024.11.211. 소화기계 질환 1.1. 구강·혀 1.1.1. 구내염 구내염(stomatitis)은 구강 점막에 생기는 염증성 병변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구내염의 원인으로는 바이러스 감염, 알레르기 반응, 호르몬 변화, 자가면역질환, 스트레스, 영양 결핍 등이 알려져 있다. 구내염의 주된 증상으로는 구강 내 통증, 발적, 부종, 미란 및 궤양 등이 나타난다. 구내염의 유형에는 급성 카타르성 구내염, 아프타성 구내염, 수족구병 등이 있다. 급성 카타르성 구내염은 구강 점막 전체에 걸친 미만성 염증이 특징이며, 아프타성 ...2024.11.21
-
항암 화학요법 부작용 관리2024.11.221. 항암화학요법 부작용 관리 1.1. 오심(메스꺼움)과 구토 대부분의 항암제는 위 점막과 구토를 조절하는 뇌중추에 영향을 미쳐 오심과 구토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증세는 약물 주입중이나 주입이 끝난 후에도 얼마 동안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오심과 구토 증세를 예방하고 경감시키기 위하여 진토제나 안정제를 투여하게 된다. 오심이나 구토가 발생되는 정도는 개인마다, 약제마다 차이가 있어 거의 증상을 느낄 수 없는 경우도 있지만 구토 증세가 심한 경우에는 탈수의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의료진과 상담해야 한다. 오심이나 구토가...2024.11.22
-
구강점막손상2024.08.121. 간호과정 1.1. 간호 사정 1.1.1. 주관적 자료 주관적 자료를 살펴보면, 대상자는 "머리가 계속 지끈지끈 아프고 통 기운이 없어요. 코도 자꾸 막혀서 답답하고"라고 호소하였다. 또한 "밥맛도 없고 속이 울렁거려서 밥을 잘 못 먹겠어요. 입 안도 갈라져서 따끔거리고."라고 하여 전반적인 불편감과 식욕부진을 호소하였다. 이는 대상자가 겪고 있는 감염과 구강점막 손상으로 인한 증상으로 볼 수 있다. 1.1.2. 객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에 따르면, 유○○님의 활력징후 중 체온은 오전 10시 기준 38.4℃로 조금 높은 상태였...2024.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