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영어발음의 원리2024.10.311. 구강음 발음 1.1. 구강음의 생성 원리 공기가 성문을 지나서 인두(pharynx,후두 바로 위)를 통과하면 인두에서 비강(nasa cavity,코)과 구강(oral cavity,입)의 두 갈래 길로 나뉘게 된다. 입안의 부드러운 입천장인 연구개(soft palate)가 인두강벽을 막아서 공기가 입으로 배출되면 이 소리를 구강음(oral sound)이라고 한다. 이때 구강을 통과하는 공기가 마찰이나 막힘의 방해를 받으며 내는 소리를 자음(consonant)이라하고, 방해 없이 공기가 구강을 자유롭게 빠져나가며 생성되는 소리를...2024.10.31
-
구개음화2024.10.101. 구개음화 1.1. 구개음화의 정의와 특성 구개음화는 구개음이 아닌 'ㄷ, ㅌ'이 'ㅣ'모음이나 반모음'[j]'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함께 쓰이면 구개음인 'ㅈ, ㅊ'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그러나 이는 협의적인 정의로, 원래 구개음화는 경구개음이 아닌 자음이 특정 조건 아래에서 경구개음으로 바뀌는 현상을 가리킨다"" 즉, 국어사에서의 구개음화는 모음 i, y 앞에서 'ㄷ, ㅌ, ㄸ'이 'ㅈ, ㅊ, ㅉ'이 되는 현상 이외에도 'ㄱ, ㅋ, ㄲ'이 모음 i, y 앞에서 'ㅈ, ㅊ, ㅉ'이 되는 현상, 'ㅎ'이 모음 i, y 앞...2024.10.10
-
한국어 음운 규칙 및 말하기 평가 방법2024.12.141. 한국어 음운 규칙 1.1. 자음 동화 1.1.1. 비음화 비음화는 파열음(ㄱ, ㄷ, ㅂ)이 비음(ㅁ, ㄴ) 앞에서 비음으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는 발음의 편의를 위해 일어나는 음운 변화로, 발음을 더 자연스럽게 만든다. 예를 들어 '국민'이라는 단어는 원래 [국민]으로 발음되어야 하지만, 실제 발음은 [궁민]으로 변화한다. 이처럼 'ㄱ'이 비음 'ㄴ' 앞에서 'ㅇ'으로 변하는 것이 비음화 현상이다. 또한 '밥물'은 [밥물]이 아닌 [밤물]로 발음되는데, 여기서 'ㅂ'이 비음 'ㅁ' 앞에서 'ㅁ'으로 동화되었다. 이처럼...2024.12.14
-
a+ 한국어 음절 구조에 대해 정리한 후, 한국어 음절의 제약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제시하시오2024.11.261. 서론 1.1. 한국어 음절 구조의 중요성 한국어 음절 구조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습득하는 데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한국어의 독특한 음운 체계는 다른 언어와 큰 차이를 보이며, 이는 발음과 문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음절은 단어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므로, 한국어 음절 구조에 대한 이해는 한국어 학습의 기초가 된다. 음절은 자음과 모음이 결합하여 형성되는데, 한국어 음절은 초성, 중성, 종성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한국어 발음과 문법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한국어에서...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