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아동 구강질환2024.10.021. 영유아의 건강 관리 1.1. 호흡기 질환 1.1.1. 급성 비인두염 급성 비인두염은 영유아에게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로, 전신증세가 약하게 나타나는 비인두의 급성감염이다. 유아에게는 비인두 뿐만 아니라 부비강염, 중이염, 기관지염, 폐렴 등을 일으킬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급성 비인두염의 증상은 인후통의 국소 증세가 나타나며, 수 시간 전에 발열 등 가벼운 전신증세가 먼저 나타난다. 전신 증세로는 열이 없거나 미열이 있고, 보채거나 기운이 없으며 음식을 먹지 않고 때로는 구토나 설사가 나타날 수 있다. 국소 증세로는 ...2024.10.02
-
구강보건 포스터2024.09.101. 노인 구강보건 교육 1.1. 사업추진 배경 1.1.1. 인구노령화에 따른 치아건강관리 필요성 증대 인구노령화에 따른 치아건강관리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는 507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노년층의 구강건강관리가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노인들의 구강건강 현황을 살펴보면, 저작 불편함을 호소하는 비율이 만 65세 이상 노인의 56%에 달하고, 의치 장착률은 65세-74세의 45%, 75세 이상의 65%에 이르고 ...2024.09.10
-
치아 포스터2024.09.101.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 사례보고서 1.1. 선정 근거 대표적인 구강질환 중 하나인 영구치 우식증은 6~15세 아동·청소년기에 급격히 발생·증가하여 이후 정체되는 비가역적인 만성질환이다. '2018년도 학생건강검사 표본통계 분석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에게 가장 많이 나타나는 문제는 시력이상과 치아우식증(충치)인 것으로 나타났다. 초·중·고생의 평균 치아우식증 유병률은 22.84%이며, 평균 치주 질환 유병률은 13.61%로, 전년대비 0.39% 증가했다. 또한 우리나라의 만 12세 어린이들의 우식경험영구치지수는 OECD 국가 중...2024.09.10
-
구강보건교육2024.09.291. 구강건강과 구강보건사업 1.1. 건강의 개념 "건강의 개념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다. 19세기 이전에는 건강을 단순히 육체적으로 질병이 없고, 허약하지 않으며 증상이 없는 신체개념으로 보았다. 하지만 19세기 중엽 이후부터 건강을 심신개념으로 정의하게 되었는데, 건강한 정신은 건강한 육체에 있다고 하여 육체적인 것과 정신적인 것은 불가분의 관계로 보았다. 이에 따라 어느 한 쪽의 불건강도 건강한 상태로 볼 수 없게 되었다. 그리고 1940년대 이후에는 건강을 생활개념으로 바라보게 되었는데, 건강을 단순히 질병 또는 허약하지 ...2024.09.29
-
공중구강보건학2024.10.121. 서론 1.1. 구강보건사업의 필요성 1.1.1. 지속적인 구강건강 수준의 향상 우리나라 12세 아동의 치아우식증은 감소 추세이지만 선진국보다는 열악한 수준이다. 2020년까지 영구치(12세) 우식경험 치아수 1.6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영구치 우식증은 만 6세부터 증가하여 20세 무렵에 이르면 90%이상이 경험하고, 65세 이상의 노인연령에 이르면 90%를 상회하는 등 대다수의 국민들이 경험하므로 우식발생 전에 예방적 진료가 필요하다. 또한 치주질환은 1970~1980년대에 칫솔질 등 개인구강위생관리법의 보편...2024.10.12
-
노인구강2024.11.061. 노인의 구강건강관리 1.1. 노인 구강건강의 필요성 1.1.1. 구강 건강과 노인의 삶과의 관계 구강 건강과 노인의 삶과의 관계는 매우 밀접하다. 노년기에 구강 건강 문제가 발생하면 이는 노인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첫째, 노인의 치아 상실은 저작 능력의 저하를 초래하여 음식 섭취의 범위가 좁아지고 식사의 질이 떨어지게 된다. 이는 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체력 유지에 어려움을 준다. 노인에게 있어 식사는 삶의 큰 부분을 차지하므로 구강 건강 문제로 인한 식사 불편은 노인의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키게 된...2024.11.06
-
구강보건사업기획안2024.12.061. 보건사업기획안 1.1. 사업 목적 및 목표 1.1.1. 사업의 목적 사업의 목적은 해운대구의 구강질환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취약계층의 구강 보건 서비스 요구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리나라 12세 아동의 치아우식 경험률은 점차 감소 추세이나 1인당 평균 우식경험률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또한 요양급여 비용 상위 10위 안에 구강관련 상병이 2개가 포함되어 있을 정도로 구강질환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높다. 해운대구의 경우에도 구강질환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이 높으며, 특히 취...2024.12.06
-
공중구강보건학2024.09.101. 구강보건사업의 필요성 1.1. 지속적인 구강건강 수준의 향상 우리나라 12세 아동의 치아우식증은 감소 추세이나 선진국보다는 열악한 수준이다. 2020년 까지 영구치(12세) 우식경험 치아수 1.6개를 달성하는 것이 목표이다. 영구치 우식증은 만 6세부터 증가하여 20세 무렵에 이르면 90%이상이 경험하고, 65세 이상의 노인연령에 이르면 90%를 상회하는 등 대다수의 국민들이 경험하므로 우식발생 전에 예방적 진료가 필요하다. 치주질환은 1970~1980년대에 칫솔질 등 개인구강위생관리법의 보편화에 따라 우리나라 성인의 치주질...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