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구강보건교육학2024.10.011. 구강 보건의 이해 1.1. 유아구강보건 유아구강보건이란 유아의 구강건강을 증진하고 유지시키려는 계속적인 노력과정이다. 일생의 구강건강기틀은 초등학교 학령기에 조성되고, 유아구강보건은 학교구강보건의 기반이기 때문에, 유아구강보건은 일생의 구강건강기틀을 조성하기 위한 기반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구강보건 역시 건실하게 개발해야 한다. 유아의 구강건강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유치 맹출 시기인 생후 6개월부터 관리를 시작하며 유치가 완전히 맹출하는 6세 전후까지가 유아구강보건의 핵심 시기이다. 유아기에 구강관리습관이 형성되...2024.10.01
-
보건소 사업계획서 구강2024.11.181. 보건사업기획 1.1. 사업 목적 및 목표 1.1.1. 사업의 목적 보건사업의 목적은 우리나라 12세 아동의 치아우식 경험률이 점차 감소추세이나 1인당 평균 우식경험률은 여전히 높고, 구강질환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높은 가운데 취약계층에서 구강질환과 관련한 공공의료서비스 요구도가 높기 때문이다. 해운대구는 주관적 구강건강이 나쁜 인구의 분율이 32.7%로 부산광역시 평균 33.5%보다 낮으며, 제6기 지역보건의료계획에서 실시한 불소예방사업 위주의 구강보건 사업에 대한 참여율도 좋았다. 그러나 개인의 구강건강관리 능력을 ...2024.11.18
-
아동구강 보건교육계획안2024.11.251. 구강건강관리의 중요성 1.1. 아동 구강건강의 현황과 문제점 아동의 구강건강 현황과 문제점은 심각한 수준이다. 2019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만 5세 어린이의 유치우식경험자율은 67.6%로, 평균 유치우식경험치아수는 3.2개에 달한다. 이는 만 3세, 만 5세, 만 12세 아동의 구강건강 지표가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임을 보여준다. 특히 아동기의 구강건강은 평생 구강건강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아동의 구강건강 관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아동기 구강병 예방...2024.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