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목회계획2024.09.191. 서론 1.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각 교회마다 연말이 되면 그 다음 해의 1년간의 목회계획을 세우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그 목회계획에 따라서 교회의 목표와 방향성이 정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회마다 목회계획을 세우는 것을 중요하게 여겨 목회 세미나나 교육을 통하여 많은 교역자들이 힘을 써서 목회계획을 세운다. 물론 어디까지나 계획이기 때문에 바뀌거나 수정되는 부분들도 있다. 하지만 전체적인 목회계획을 올바르게 세워 올바른 방향으로 교회가 1년을 보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목회계획을 세우는 데에는 다양한 방법...2024.09.19
-
한국교회 예배 갱신을 위한 방법2024.09.231. 예배에 대한 고찰 1.1. 예배의 의미와 역할 예배의 의미와 역할은 다음과 같다. 예배는 인간이 하나님께 경배하며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신앙적 생활을 영위하는 종교적 행위이다. 초대교회부터 이어져 온 예배의 본질은 하나님을 찬양하고 그분의 구원의 은혜에 대해 감사하는 것이다. 예배를 통해 신자들은 하나님과의 교제를 나누고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실천하며, 하나님께 자신을 바치게 된다. 예배의 핵심적인 역할은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과 유지이다. 인간은 죄로 인해 하나님과 단절되었지만, 예배를 통해 하나님의 용서와 은혜를 ...2024.09.23
-
묻고 답하는 예배학 독후감 조기연 교수2024.10.311. 서론 저자는 본서의 서론에서 "한국교회의 목회자들과 평신도들이 이 책을 통해 예배에 대한 이해를 한층 증진하게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히고 있다. 저자는 본서가 신학적 소양이 없는 평신도도 이해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강조하며, 교회 공동체가 함께 예배를 풍성하게 만드는 것이 저자의 주된 의도라고 말한다. 저자는 예배가 그리스도인의 존재 목적이라고 보며, 성경적 지식을 토대로 한 바른 예배가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본서는 저자가 10년 이상 예배학을 강의하면서 받았던 57가지의 질문과 그에 대한 해답을 담고 있다....2024.10.31
-
한국 기독교의 초기 토착적 기도문화와 예배 문화에 대해서 논하시오2024.10.211. 예배의 이해 1.1. 예배와 윤리 예배와 윤리는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관계이다. 선지서만큼 예배와 윤리의 관계를 잘 보여주는 곳도 없을 것이다. 진정한 예배라면 반드시 정의와 윤리적 실천이라는 열매가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이 율법의 내용대로 문자적으로는 예배를 잘 드리고 있었을지 모르지만, 그 내용을 들여다보면 그들의 예배는 텅 빈, 공허한 의식주의에 불과할 뿐이었다. 하나님의 구원에 근거한 진정한 예배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정의와 윤리적 기준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반드시 사회적, 개인적 삶을 통해 반증되어...2024.10.21
-
중세교회 예배2024.10.111. 중세 카톨릭교회 예배의 제 형태 1.1. 중세 예배의 특징 중세 카톨릭교회의 예배는 여러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먼저, 중세 예배는 신학과 신앙의 표준인 말씀보다는 신비한 경험과 다양한 의식들이 예배의 중심이 되었다. 성당에서 드려진 예배당은 매우 시각적이고 화려하게 장식되었으며, 국왕과 사제, 남녀노소, 수녀들과 어린이들, 성묘와 성물들이 미신적으로 성별되어 있었다. 이러한 상징들이 사람들의 인격과 행위를 바꿀 수 있다고 믿었다. 또한 교회와 국가 지도자들은 신의 뜻을 위한 명분으로 여러 의식과 제도를 제정하고 부와 ...2024.10.11
-
예배란 무엇인가2024.11.281. 예배에 대한 이해 1.1. 예배의 정의 및 의미 예배란 하나님의 현존을 인지한 인간의 응답을 표현하는 마음가짐과 행위이다. 따라서 예배는 우리의 전 존재를 하나님께 굴복시키는 일이다. 예배는 하나님의 거룩함으로 우리의 양심을 깨우고, 그분의 진리로 우리의 마음을 살찌우며, 그분의 아름다움으로 우리의 상상을 정화시킨다. 또한 그분의 사랑으로 우리의 심령을 활짝 여는 것이며, 그분의 목적에 우리의 의지를 내려놓는 것이다. 즉, 예배란 하나님께 최상의 가치를 돌리고 존경을 표하는 행위라 할 수 있다"" 1.2. 예배의 목적 예배의...2024.11.28
-
교회력에 의한 목회계획2024.11.251. 서론 1.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019년 중국우한(武漢)에서 발생한 호흡기 감염질환인 코로나 19는 한국사회는 물론이고 전세계의 일상을 바꾸어 놓았다. "주일이면 교회에서 모이던 교인들은 교회에서 모이기 보다는 각 가정에서 온라인 예배를 드리거나, 사회적 거리를 지키며 이전과 다른 형태의 주일현장예배를 드리게 되었고, 주일과 주중에 지속적으로 시행하던 양육과 훈련도 멈추거나 혹은 온라인 형태로 시행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목회 패러다임의 변화와 전환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세상이 교회를 걱정하는 시대를 우리는 살아가...2024.11.25
-
교회주일학교연간계획진행내용2024.10.221. 서론 1.1. 문제제기 교회가 존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하나님의 자녀들이 함께 모여 예배하는데 있다. 그렇기에 교회는 예배공동체로서 오늘을 이어가고, 예배공동체인 교회를 통해서 예배는 끊임없이 계속된다. 그러나 그 예배가 방향을 잃고 질서 있는 내용과 형태를 잃어버릴 때 교회 역시 향방 없는 걸음을 내딛게 된다. 결국 교회의 정체성은 물론, 본질 자체가 흔들리는 것이다. 그렇다면 교회의 본질을 결정짓는다 해도 과언이 아닌 예배의 중심은 무엇이 되어야하는가? 예배는 무엇에 초점이 맞춰져야 하는가? 과연 무엇을 예배하는 것인가?...2024.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