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독일크리스천귀족에게보내는편지2024.10.051. 종교개혁의 배경 1.1. 정치적 상황 1.1.1. 서임권 논쟁 서임권 논쟁은 교황 그레고리 7세와 신성로마제국 황제인 하인리히 4세 간의 성직 임면권을 놓고 벌어진 권력 다툼이었다. 서임권 논쟁 이전까지 황제가 교회의 내정을 간섭하고 교황 및 주교의 임면을 좌우하였다. 이에 교황 그레고리 7세가 교황권을 확립하고 로마 교회를 정화한 후 세속권에 도전하였다. 그레고리 7세는 성직매매를 금하고 성직자의 독신생활을 엄히 지시하였으며, 성직 임면권과 교회재산의 감독권을 국왕이나 제후에게서 빼앗아 교황의 권리 하에 두었다. ...2024.10.05
-
십자군전쟁2024.10.111. 십자군 전쟁의 역사 1.1. 십자군 전쟁의 배경과 원인 십자군 전쟁의 배경과 원인은 다음과 같다. 7세기 이후 이슬람교가 등장하면서 이슬람 세력이 급격히 성장하였다. 특히 11세기에 터키의 셀주크 왕조가 성장하면서 그리스도교 성지인 예루살렘을 함락하고 순례자들을 박해하기 시작했다. 이에 동로마 제국 황제는 교황에게 도움을 요청하게 되었다. 한편 유럽 내부적으로도 봉건사회가 안정되고 인구가 증가하면서 생산력이 향상되었다. 이에 따라 서유럽 세계는 외부로 팽창하고자 하는 욕구가 생겨나게 되었다. 또한 교황권의 신장도 ...2024.10.11
-
역사의 거울 앞에서2024.10.151. 중세교회사: 어둠 속에서 빛을 찾다 1.1. 중세교회 시대에 대한 오해와 진실 중세교회 시대는 암흑기가 아니다. 중세교회 시대는 단순히 어둠 속에 갇혀 있었던 것이 아니라 역동적으로 변화하며 빛을 찾아가는 시기였다. 먼저, 중세교회 시대를 암흑기라고 부르는 것은 부적절하다. 이는 주로 일반 문화사가들이 내린 평가이다. 이들은 중세 시대 세속문화와 세속 학문이 교회 조직에 의해 눌려 제대로 발전하지 못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또한 기독교인들 중에서도 중세를 암흑기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중세가 초대교회와 종교개혁기...2024.10.15
-
카톨릭 종교개혁2024.10.151. 서론 루터와 칼뱅 등의 종교개혁 세력들의 등장으로 인하여 로마 교회 내부에서는 로마 카톨릭을 새롭게 바꾸자는 혁신운동이 촉진되었고 이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종교개혁세력들에 대항하였다. 이러한 로마 교회 내부에서의 움직임을 반종교개혁 혹은 카톨릭 종교개혁이라 한다. 독일의 역사학자인 랑케에 의해 처음 사용되기 시작한 반종교개혁이라는 용어는 루터와 칼뱅의 종교개혁에 대한 자체 방어 혹은 공격적 반발의 의미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카톨릭 내부의 자정 움직임과 예수회로 대표되는 개혁파 수도회의 등장과 트리엔트 종교회의에서 보이는 ...2024.10.15
-
역사의 거울 앞에서2024.11.241. 역사의 거울에 비친 교회 1.1. 중세교회 시대는 암흑기인가 중세교회 시대는 암흑기가 아니다. '중세교회사'라고 하면 대부분 암흑기라는 말을 떠올리게 되는데, 이것은 중·고등학교 세계사 시간에 '중세'하면 '암흑기'라는 식으로 배웠기 때문이다. 중세를 암흑기라고 부르는 것은 크게 두 가지 이유에서 기인한다. 첫째, 일반 문화사가들이 중세를 암흑기라고 한다. 이는 중세 때 세속문화나 세속 학문이 교회 조직에 눌려 기를 펴지 못했기 때문이다. 둘째, 기독교인 가운데 중세를 암흑기라고 하는 경우이다. 초대는 교회의 시작 시...2024.11.24
-
중세 수도원2024.10.221. 수도원 운동의 역사와 발전 1.1. 초기 수도원의 등장과 발전 1.1.1. 수도원의 성서적 배경 초대 교회 그리스도인들은 예수와 그의 제자들의 삶을 본받아 세상을 초월한 완전한 영적 삶을 살고자 하였다. 예수와 그 제자들은 결혼하지 않고 특정한 거처 없이 방랑하며 금욕적인 모습을 보였는데, 이러한 그들의 삶은 수도원 운동의 성서적 배경이 되었다. 초대 교회 그리스도인들은 현실에 있는 한 완전한 영적 삶을 살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홀로 은둔하거나 광야에 나가 성경 묵상, 기도, 명상을 하기 시작하였다. 이것이 그리스도교...2024.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