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개
-
아이디어 제안서2024.09.241.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을 위한 "버너러블맵" 서비스 1.1. 교통약자의 현황과 문제점 교통약자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의 2020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인구 5183만명 중 약 29.7%인 1540만명이 교통약자로 집계되었다.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노인과 장애인을 포함하는 교통약자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교통약자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데에는 여전히 많은 어려움이 있다. 최근 세계 장애인의 날을 맞이하여 전국 장애인차별철폐연대 주관 시위가 있었는...2024.09.24
-
장애인복지2024.09.251. 장애인 이동권과 관련된 현황 및 문제점 1.1. 장애인의 이동권 현황 장애인의 이동권 현황은 아직도 개선의 여지가 많은 실정이다. 비장애인에게는 또 다른 장소로의 이동이 너무나 간단한 행위임에도, 장애인에게는 여전히 많은 투쟁과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특히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의 경우 이동에 있어 더욱 큰 불편함을 겪고 있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장애인들은 평소처럼 활동지원사의 도움을 받는 것조차 어려워졌다. 이렇게 가정에서의 활동이 제한된 상황에서, 밖으로 나가 할 수 있는 활동도 더욱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2024.09.25
-
컴퓨팅 사고력 기르기2024.10.011. 컴퓨팅 사고력 기르기 1.1. 문제 개발 1.1.1. 문제 상대방과 휴대폰 번호 뒤 4자리가 일치할 확률은 0.01%이다. 휴대폰 번호는 010-ABCD-EFGH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A, B, C, D, E, F, G, H에는 각각 0부터 9까지의 숫자가 올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 번호의 경우의 수는 10^8=100,000,000개이다. 그중에서 뒤 4자리 EFGH가 일치하는 경우의 수는 10^4=10,000개이다. 이를 바탕으로 확률 공식을 적용하면 휴대폰 번호 뒤 4자리가 일치할 확률은 {10,000} / {10...2024.10.01
-
도시철도2024.11.031. 서론 1.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사회적 약자 중 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의 신체적 장애를 가진 계층을 고려한 도시교통시설 확충을 위하여 필요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사회적 약자의 현실적인 생활권을 교통시설 개선을 통해 시설이용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것이 도시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개선하는 방법이 될 것이라는 판단 하에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급속한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기존에는 고려되지 못한 사회적 약자를 위한 시설을 지금에 와서야 보완하고 있는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장애를 가지고...2024.11.03
-
모의수업지도안 교통2024.10.241. 교통기관을 통한 즐거운 교통생활 1.1. 교통안전 규칙 알아보기 1.1.1. 유치원 버스 탈 때 지켜야 할 약속 유치원 버스 탈 때 지켜야 할 약속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유치원 버스에 오를 때는 질서를 지켜 한 명씩 조용히 탑승해야 한다. 버스에 오르면 자신의 자리에 앉아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창문 밖으로 손이나 물건을 내밀지 않아야 한다. 유치원 버스에 탑승할 때는 다른 친구들을 밀거나 뛰어다니지 않는다. 또한 버스 안에서는 친구들과 조용히 대화하며, 큰 소리로 떠들거나 장난치지 않는다. 유치원 선생님이나 운전기...2024.10.24
-
장애인 우선 탑승 규제2024.10.091. 서론 이동권은 장애인에게 자기결정적인 삶의 영위와 사회참여를 위한 요소로서 핵심적인 기본권에 속한다. 이동권은 삶의 모든 영역-교육, 근로, 주거, 여가 등-에서 물리적 거리와 장벽을 제거하고 사회적 삶을 확장시켜 나가는데 있어 중요한 수단이 된다. 현대 사회에서 이동성(mobility)은 직장을 다니고, 좋은 곳을 찾아가고, 친구를 만나고, 문화와 레저를 즐기는 등의 활동을 하기 위해 반드시 수반되는 전제조건이다. 이동성이 제약된다는 것은 인간의 기본적인 행복추구권이 제약됨을 의미하며 궁극적으로 개인의 자유도 속박되는 결과를...2024.10.09
-
장애인 지하철 탑승 어려움2024.10.091. 서론 1.1. 지체장애인의 이동권에 대한 관심 지체장애인의 이동권에 대한 관심은 오래전부터 제기되어 온 중요한 사회 문제이다. 장애인들은 일상생활에서 겪는 어려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소수집단에 속하는 장애인들은 함께 살아가는 세상에서 서로의 처지를 이해하고 개선해야 할 점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 장애인 이동권이란 장애인들이 일상생활에서 비장애인들과 마찬가지로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데 불편함 없이 이동할 권리를 의미한다. 장애인에게 이동권 문제는 단순하지 않고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일...2024.10.09
-
폴리아의 문제해결 4단계 문제2024.10.031. 폴리아의 문제해결 방법과 가정 지출 추정 1.1. 폴리아의 문제해결 4단계 1.1.1. 문제의 이해 나에게 주어진 문제에서 어떠한 답을 요구하는지 정확히 알아야 한다. 문제에서 요구하는 답과 이 답을 얻어내기 위해 나에게 주어진 것을 명확히 구분하고, 문제를 파악함에 있어 알아야 할 용어나 개념 등을 정확히 알아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1.1.2. 계획의 작성 나에게 주어진 문제에 대해 명확히 파악하였으면, 그 문제를 풀기 위한 방법을 생각해 내야 한다. 하지만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지난 시간을 보내며 얻은 지식과 경...2024.10.03
-
사회 문화 디자인2024.08.291. 서론 교통은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이며 불가피한 요소로, 우리의 일상생활과 사회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교통시스템은 모든 사람들에게 동등한 이용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고, 특히 교통약자라 불리는 일부 사람들에게는 불편과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다. 교통약자는 노인, 장애인, 저소득층 및 기타 특별한 지원이 필요한 사람들로 구성되며, 이들은 일상적인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데 제약을 받고 있다. 이로 인해 교통약자들의 이동평등권이 침해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디자인적인 접근과 혁신적인 해결방안이 ...2024.08.29
-
교통약자2024.08.301. 교통약자 이동권의 현황과 앞으로의 방향 1.1. 서론 2021년 12월 20일, 서울 지하철 5호선에서 전국장애인차별철폐 연대의 시위가 일어났다. 이들은 출입문을 휠체어로 막아 열차가 출발하지 못하게 저지하는 형식으로 시위를 진행했고, 이후에도 기습적?상습적으로 시위를 지속했다. 시위를 통해 장애인의 복지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이동권에 대해서도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며 목소리를 냈다. 위 시위에 대해 많은 옹호나 비판 등 많은 의견이 있으나 필자는 이 사건을 통해 장애인 이동권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물론 필자는 이...2024.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