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개
-
국어문법2025.06.171. 국어의 문법적 특성 1.1. 형태적 특성 국어의 형태적 특성이다. 국어는 조사와 어미가 발달하였다. 하나의 문법형태가 하나의 기능만을 나타내는 특성이 있다. 유정명사와 무정명사의 구분이 중요하며, 분류사(단위성의존명사)가 발달하였다. 대명사의 쓰임이 극히 제한적이고, 관계대명사/관사/접속사가 없다. 허형식(가주어), 잉여사(존재문)도 없다. 성, 수, 인칭 등의 일치현상도 없으며, 복수대상에 복수표지를 하지 않아도 된다. 동사와 형용사가 유사한 활용을 하는 특징이 있다. 1.2. 통사적 특성 SOV형 언어 국어는 주어-목적어...2025.06.17
-
불규칙활용환경4가지2025.06.211. 서론 1.1. 불규칙활용의 개념과 원리 불규칙활용은 용언에서 어간과 어미가 결합할 때, 어간이나 어미의 형태가 바뀌는 현상이다. 이는 일정한 환경에서 규칙적으로 변화가 생기는 '규칙 활용'과 구분된다. 불규칙활용은 결합하는 어미에 따라 달라지는데, 한국어의 어미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으' 계열 어미의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불규칙활용이 일어나는 환경은 어미의 첫소리가 자음이 아닌 모음의 경우에 한정되며, '으' 계열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낱말에 따라 달라진다. 불규칙활용에는 어간의 불규...2025.06.21
-
PEG2024.10.211. PEG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경피적 내시경하 위루술) 1.1. 목적 PEG(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경피적 내시경하 위루술)의 목적은 여러 질환으로 인하여 입으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없는 환자에게 일차적으로 정맥 주사나 비위관을 통하여 영양을 공급하지만 장기간 유지해야 할 때는 많은 고통과 불편을 주고 위식도 역류를 조장하여 식도염이나 흡인성 폐렴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장기적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으므로 경피적 내시경하 ...2024.10.21
-
국어 문법2025.04.081. 국어의 문법적 특성 1.1. 형태적 특성 국어의 문법적 특성 중 형태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국어는 조사와 어미가 발달하여 하나의 문법형태가 하나의 기능을 수행한다. 유정명사와 무정명사의 구분이 중요하며, 분류사(단위성의존명사)가 발달하였다. 대명사의 쓰임이 극히 제한적이며 관계대명사, 관사, 접속사가 없다. 허형식(가주어), 잉여사(존재문)가 없으며 성, 수, 인칭 등의 일치현상도 없다. 복수대상에 복수표지를 하지 않아도 되며 동사와 형용사가 유사한 활용을 한다. 이처럼 국어의 형태적 특성은 적극적 가치와 소극적 가치로 구...2025.04.08
-
형태소와 단어2025.05.071. 서론 국어학은 언어학과 마찬가지로 국어를 어떤 각도에서 다루며 어떤 영역을 다루느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나뉠 수 있다. 그래서 좀 더 구체적으로 나눠보자면 음운론, 문법론, 계통론, 방언 등이 있다. 이중에서도 문법론은 다시 형태론과 통사론으로 나뉘는데, 형태론을 '문장의 재료학'이라 한다면 통사론은 '문장의 건축학'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형태론이라 함은 단어의 형태적 특성을 다루는 문법론의 하위 부문이다. 형태론의 문법단위는 형태소와 단어이다. 국어는 첨가어이므로 문법적 기능을 담당하는 형태소들이 많고 각 형태소들의 기능...2025.05.07
-
형태소2025.05.101. 서론 1.1. 형태소와 단어의 개념 형태소는 문법 단위 중 최소 단위로 의미를 가지는 가장 작은 언어 단위이다. 의미를 가진 가장 작은 단위이기 때문에 더 이상 쪼개면 그 의미가 없어진다. 형태소가 유의적 단위, 즉 의미를 가지는 단위라고 할 때의 의미란 어휘적 의미뿐만 아니라 문법적인 의미도 포함한다. 국어사전에서는 '흙, 얼굴, 나무'와 같은 어휘의 의미와 '책을, 밥을, 사람을'의 '을'이 목적어를 만들어 주는 문법적 의미, '뛰어라, 먹어라, 읽어라'의 '-어라'가 명령을 나타내 주는 문법적 의미를 규정해 주고 있다....2025.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