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유학생이 알아야할 한국학 시리즈 한국문화를 읽고 서평 보고서2024.10.081. 국어 교과서와 한국어 교재의 차이 1.1. 학습 대상 국어 교과서는 모국어인 국어가 공교육을 받는 대부분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지만,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 즉 해외 이주자, 유학생, 한국 취업 준비생, 한국 문화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다"이다. 1.2. 목적과 기능 국어 교과서는 우리말의 언어사용능력, 사회소통능력, 국어문화의 계승·발전 등을 목적으로 한다. 반면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 학습을 통해 사용능력과 숙련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분야, 대상, 수준, 제시 형태 등 목적과 ...2024.10.08
-
중학생 독서 활성화 방안 및 문해교육 지원 역할2024.11.131. 2023학년도 독서 교육 계획 1.1. 독서 교육의 목적 독서 교육의 목적은 다양한 독서 행사를 통해 책읽기의 즐거움을 회복하고, 책을 통해 다른 세상, 다른 이들과 소통하며 삶에 대한 가치관과 정체성을 가꾸는 것이다. 또한 독서문화체험활동으로 농촌 소규모 학교 학생들의 감성지수를 키우는 것이다. 즉, 책읽기의 즐거움과 소중함을 느끼고 책을 통해 또 다른 세상을 만나는 기쁨을 만끽할 수 있으며, 책으로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책이 좀 더 재미있고 의미 있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2024.11.13
-
다산,그에게로 가는길2024.11.121.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 1.1. 정약용의 생애 정약용은 1762년(영조 38년) 6월 16일 서울 근교의 마재에서 출생하였다. 그의 아버지 정재원은 진주목사로 봉직하였고, 정약용은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를 따라 관리로서의 자질과 역할을 자연스럽게 학습하였다. 4세 때부터 천자문을 배우기 시작하였고, 6세에는 이미 경전을 읽을 수 있었다. 1767년 정재원이 연천에 현감으로 가면서 정약용도 함께 갔는데, 이때부터 그는 관리들의 업무에 대해 가까이에서 관찰하고 배웠다. 1776년, 정약용은 15세의 나이에 부친을 따라 서울...2024.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