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1980년대 서구 선진국을 중심으로 신자유주의 흐름과 함께 국가적인 교육개혁이 나타났다. 우수한 인재 한 명이 국민 수 만명을 책임질 수 있다는 이데올로기 아래 개인의 우수한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끌어내고자 하는 노력이 시작되었다. 세계화, 지식기반정보사회 담론과 함께 인적자본만이 한 국가의 미래를 이끌어갈 수 있다는 신념이 확산된 것이다. 그리고 일련의 과학기술의 발전은 자본의 의미와 자본이 교환되는 시장의 의미도 새롭게 정립하였는데, 이로부터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쟁력은 '우수한 자본' 즉 '부가가치가 큰 자본'의 획득...
2024.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