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지체장애학생의 장애정도 중도중복화 이유2024.09.151.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육적 가능성과 교육방법 1.1. 중도·중복장애의 개념 중도·중복장애는 장애의 심각성의 정도 및 서비스 요구 수준을 반영하는 차원의 '중도'와 2가지 이상의 장애 조건의 '중복'을 아우르는 용어이다. 국립특수교육원에서는 중도장애는 인지적, 적응 능력, 기능적 능력, 자립 능력 등에서 장애의 정도가 심하고 학습 및 생활에서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지원을 필요로 하며, 중복장애는 두 가지 유형의 장애가 중복된 상태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장애인복지법」,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도 중도·중복 장애를 ...2024.09.15
-
인성교육의 현안과제 설명2024.10.061. 서론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더불어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학교에서의 인성교육 실천에 대한 다양한 요구는 전통적인 윤리교육을 넘어 각 교과 중심의 실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인성교육의 중심에 학교가 있고, 학교는 여러 가지 덕목을 가르치지만 교과 중심으로 운영되어야 한다는 현실적 측면이 있다. 이런 점에서 영어과를 중심으로 인성교육 실천의 적용에 대한 연구이다. 영어과는 법에서 정하는 '인성교육'의 정의인 '자신의 내면을 바르고 건전하게 가꾸고 타인·공동체·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간다운 성품과 역량을 기르는 것을 ...2024.10.06
-
지체장애학생의 장애정도가 중도중복화 되는 이유2024.11.251. 저출현 장애: 중복장애, 농-맹, 외상성 뇌손상 1.1. 중복장애 중복장애는 미국 장애인교육법(IDEA)에 따르면 두 가지 이상의 장애가 함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특수교사들이 사용하는 용어로서 중도장애는 지적, 운동, 그리고/또는 사회적 기능에의 상당한 손상을 지칭한다. 최중도 장애는 2세 수준의 인지, 의사소통, 사회성, 기술, 운동, 일상생활 활동 수준을 보여서 항상 보호가 필요한 상태를 의미한다. 지능지수 20~25 수준이하는 전형적으로 최중도 지적장애로 분류된다. 중도장애는 대부분의 특수교사들이 사용하는 ...2024.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