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미숙아 case2024.09.261. 미숙아 개요 1.1. 미숙아의 정의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재태 기간 37주 미만 또는 최종 월경일로부터 259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미숙아(preterm infant) 또는 조산아라고 정의한다. 반면 재태 기간과 상관 없이 출생 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출생 체중이 2,500g 미만인 경우는 저체중 출생아(LWB, low birth weight), 출생 체중이 1,500g 미만인 경우는 극소 저체중 출생아(VLBW, very low birth weight), 그리고 출생 체중이 1,000g 미만은 경우는 초극소 저체중...2024.09.26
-
미숙아2024.09.251. 서론 저출산 시대에 미숙아 출생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산모의 나이가 많아지고 난임 시술로 인한 다태임신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미숙아는 건강관리가 중요하지만 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미숙아가 늘어나고 있고 이들의 건강관리 방안 마련을 위해 이 사례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2019년 6월 11일부터 퇴원 시까지 OOO대학교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미숙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해 진단명에 대한 이해를 시작으로 대상자 관찰, 간호기록지, 차트를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간호...2024.09.25
-
아동간호학 실습일지2024.09.251. 미숙아 1.1. 정의 및 분류 미숙아는 재태 기간 37주 미만 또는 최종 월경일로부터 259일 미만에 태어난 신생아를 말한다. 반면 재태 기간과 상관 없이 출생 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출생 체중이 2,500g 미만인 경우 저체중 출생아, 출생 체중이 1,500g 미만인 경우는 극소 저체중 출생아, 그리고 출생 체중이 1,000g 미만인 경우는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라고 부르는 것이다." 1.2. 원인 미숙아가 출산되는 원인은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첫째, 낮은 사회경...2024.09.25
-
장염 문헌고찰2024.10.231. 괴사성 장염(Necrotizing enterocolitis) 1.1. 배경 괴사성 장염의 90%는 재태주령 36주 미만의 미숙아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장의 점막(mucosal) 혹은 전층(transmural)의 괴사로 인해 생기는 미숙아의 응급 소화기 질환이다. 괴사성 장염은 만삭아들의 경우 주로 일찍(3-10일) 나타나는 반면, 미숙아들은 비교적 늦게(3-4주) 나타난다. 이는 장관 성숙도의 차이로 인한 것으로 여겨지며, 미숙아의 경우 장관 손상에 더욱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2. 병태생리학 괴사성 장염의 병태생...2024.10.23
-
신생아 괴사성 장염 사례 연구 보고서2024.09.291. 신생아 괴사성 장염 1.1. 정의 신생아 괴사성 장염은 창자의 일부 조직이 괴사되어 문제가 생기는 것으로 신생아 전체 사망 요인 중 두 번째로 높은 요인이다. 가장 많이 생기는 부위는 결장으로 신생아 괴사성 소아결장염이라고도 부른다. 1500g미만의 신생아에서 7%정도 유병율을 보일 정도로 흔하고, 사망률은 치료하더라도 20~30% 정도로 높은 편이다. 장 점막의 괴사가 다양한 정도로 일어나는 것이 특징이다. 1.2. 원인 및 병태생리 신생아 괴사성 장염의 원인 및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괴사성 장염 발생에 중요한 ...2024.09.29
-
조기양막파열 간호과정 연구 및 감염위험성 분석2024.11.07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조기 양막 파열(PPROM)은 임신 37주 미만에 양막이 파수되는 것을 의미한다. PPROM은 전체 임신의 3~5%에서 발생하며, 조산의 원인 중 1/3을 차지하고 있다. 분만실에 입원하는 환자들 중 조기 양막 파열의 비율은 18.9%로 2순위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감염이 되지 않도록 하면서 동시에 임신기간을 연장시키는 간호가 필요하다. PPROM은 주산기 합병증과 사망률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치료적 접근법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PR...2024.11.07
-
미숙아 퇴원교육2024.08.281. 미숙아의 특성과 관리 1.1. 미숙아의 정의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미숙아(preterm infant)는 재태 기간 37주 미만 또는 최종 월경일로부터 259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의미한다. 이와 함께 재태 기간과 상관없이 출생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출생체중이 2,500g 미만인 경우는 저체중 출생아(LBW, low birth weight), 출생체중이 1,500g 미만인 경우는 극소 저체중 출생아(VLBW, very low birth weight), 그리고 출생체중이 1,000g 미만은 경우는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2024.08.28
-
통합간호실습2024.09.021. 고위험 신생아의 정의와 생리적 장애 1.1. 고위험 신생아의 정의 고위험 신생아는 신생아기, 특히 생후 수일간에 이환이나 사망위험이 크고, 특별한 간호를 필요로 하는 조건을 가진 신생아를 말한다. 모체측의 고위험 임신, 분만에 의한 것과, 신생아 자체에 원인이 있는 것이 있으며 모체의 고위험요인을 가진 것은 신생아의 10~20%정도로 태아 및 신생아사망의 반수이상의 원인이 된다고 한다. 출생시 체중이나 재태기간과 상관없이 출산과정 및 자궁외 생활적응으로 야기되는 상태나 환경으로 인해 이환률과 사망률의 기회가 평균이상의 신생아...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