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개
-
조선 그 마지막10년2024.09.221. 정조의 생애와 업적 1.1. 정조의 생애 정조는 조선의 제22대 군주로, 고종시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다. 그의 아버지는 비극적인 죽음을 당한 사도세자이고, 어머니는 혜경궁 홍씨, 할아버지는 영조이다. 비극적인 가정사를 가지고 왕이 되었지만, 할아버지 영조와 함께 조선 최후의 부흥기를 이끈 임금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 일반적이지 않은 스토리와 조선 최후의 개혁군주로 평가 받는다는 점에서 오늘날에도 많은 대중매체의 주목을 받는 왕이기도 하다. 1776년에 즉위하여 1800년에 사망한다. 아버지인 사도세자가 비정한 정치판에...2024.09.22
-
국민대 한국2024.10.231. 광해군의 통치, 선정과 폭정 사이 1.1. 서론 광해군의 통치 시기는 조선왕조 15대 왕의 재위 기간인 1608년부터 1623년까지이다. 광해군은 선조의 둘째 아들이자 임진왜란 당시 왕자로서 국가 위기에 적극 대응했던 인물이다. 그러나 광해군의 통치에 대해서는 선정과 폭정 사이에 평가가 갈리고 있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광해군이 왕위에 오르게 된 과정과 그의 주요 업적들을 살펴볼 것이다. 이후 광해군의 폐위 과정과 이에 대한 상반된 평가를 검토하여 광해군 통치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광해군의 통치가...2024.10.23
-
병자호란2024.09.301. 병자호란의 배경 1.1. 여진족의 통일과 후금 국가 성립 여진족은 오늘날 만주와 연해주 근방에 거주하고 있었던 퉁구스계 민족이다. 그들은 12세기 초반 아골타가 여진족을 규합하여 금나라를 건국하였으나, 몽골의 침략으로 금나라가 멸망하면서 통일된 세력을 형성하지 못했다. 16세기 중엽에 이르러 아이신 교로 누르하치가 숙신, 말갈, 여진을 규합하여 통일하게 된다. 누르하치는 16세기 말부터 여진족을 통일하기 시작하였다. 그는 건주여진의 부족장으로 군사력을 강화하며 점차 다른 여진 부족들을 복속시켰다. 1589년에는 건주여진을...2024.09.30
-
임진왜란 전 동북아 정세2024.10.061. 임진왜란 시기와 그 이해 1.1. 17세기 초 동북아 정세 17세기 초 동북아 정세는 임진왜란 이후 큰 변화를 맞이하였다. 일본에서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통일을 이룬 후 조선을 침략하였으나, 조선과 명의 연합군에 의해 패배하였다. 이로 인해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이끄는 에도막부가 성립되며 정치적 안정기에 접어들었다. 명나라는 임진왜란 당시 무리한 원조로 인해 국력이 크게 쇠퇴하였다. 전국 각지에서 일어나는 농민 봉기와 후금과의 대립으로 위태로운 상황이었다. 조선은 전쟁으로 인해 국토의 절반 이상이 황폐화되었고, 정치세력이 ...2024.10.06
-
인조 재평가2024.11.101. 서론 1.1. 상반된 평가를 가지고 있는 왕 광해군은 조선의 제15대 왕이자 인조반정으로 권좌에서 쫓겨난 국왕이다. 그에 대한 평가는 극과 극을 달린다. 우선 그가 이른바 인조반정을 통해 폐위되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난정을 일삼다가 폐위된 폭군'이자 '혼주(昏主)'로 보는 전통적 인식이 있다. 다른 한편에서는 광해군을 '명청교체(明淸交替)라는 격변 속에서 이른바 '택민주의'에 입각하여 현명한 외교를 펼쳤지만 결국 당쟁에 희생된 군주'로 보는 긍정적인 시각이 있다. 다른 한편에서는 광해군의 공과(功過)를 분리하여 평가...2024.11.10
-
광해군 재평가2024.11.101. 신사임당과 같이 당대에 저평가된 인물: 광해군 1.1. 왕권과 신권의 대결 속의 광해군 광해군은 임진왜란 당시 왕세자로서 분조를 이끌며 민심을 수습하고 의병을 모집하는 등 전란 극복을 위해 헌신했다. 하지만 선조와의 갈등과 왕위 계승 문제로 인해 조정 내 첨예한 대립이 발생했다. 선조는 왕위를 물려줄 계획이 오래전부터 있었으며, 1592년 4월 29일 광해군을 왕세자로 책봉한다. 선조는 광해군에게 "군국의 대권을 총괄토록 하려 한다. 임시로 국사를 다스리게 하노니 무릇 관직을 내리고 상벌을 시해하는 일을 편의에 따라 스스로...2024.11.10
-
광해군2024.11.141. 광해군의 생애와 업적 1.1. 광해군의 집권 과정 광해군의 집권 과정은 다음과 같다. 광해군은 선조의 둘째 아들로, 임진왜란 당시 의병을 이끌며 활약한 경력이 있었다. 선조는 장자인 임해군보다 덕이 없다고 판단하여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하였다. 선조의 계비 인목대비에게서 영창대군이 태어났으나, 광해군이 왕위에 올랐다. 당시 영창대군을 세자로 책봉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지만, 결국 광해군이 왕위에 올랐다. 광해군이 왕위에 오른 후에는 자신을 지지하는 세력인 대북파의 도움으로 권력을 공고히 하였다. 그는 형인 임해군을 유폐하...2024.11.14
-
광해군 역사 프로젝트2024.11.141. 폐위된 왕 광해군 - 그는 누구인가? 1.1. 프로젝트 개관 1.1.1. 프로젝트 개관 인지심리학의 측면에서 보면 이해는 직접적으로 가르칠 수 없다. 학습자가 스스로 수행을 할 때만 진정한 의미의 학습이 일어난다. 프로젝트 학습은 교사 주도의 지식 전달에 중점을 둔 학교교육을 비판하면서 대안적인 수업 방법으로 탄생하였는데, 프로젝트 학습은 학습자들이 주도가 되어 질문을 만들고, 그 질문을 바탕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며, 학습 과정을 통해 최종 산출물을 만들어내는 수업을 말한다. 프로젝트 수업의 교육적 효과는 첫째, 학습자들의 ...2024.11.14
-
영화 속 역사의 사실과 허구 - 광해군 이야기2024.11.201.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와 역사적 사실 1.1. 영화 소개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는 광해군 8년(1616년) 2월 28일을 배경으로 한다. 왕위를 둘러싼 권력 다툼과 붕당정치로 혼란이 극에 달한 시기에 광해군은 자신의 목숨을 노리는 자들에 대한 분노와 두려움으로 점점 난폭해져 가던 상황이다. 이에 광해군은 도승지 허균에게 자신을 대신할 대역을 찾을 것을 지시한다. 허균은 기방의 취객들 사이에서 걸쭉한 만담으로 인기를 끌던 하선을 발견한다. 왕과 똑같은 외모와 연기력, 말솜씨를 갖춘 하선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궁...2024.11.20
-
영상학과가 쓰는 영화감상문 레포트2024.10.181. 영화 '광해, 군주의 세 얼굴' 감상문 1.1. 영화 소개 광해군은 조선 중기의 왕으로, 자신의 안위를 위협하는 이들을 피하기 위해 자신과 똑같은 신분 낮은 광대를 찾아 왕의 자리에 앉힙니다. 이 광대는 완전히 광해군과 흡사한 외양을 지니고 있었기에 왕궁 내에서 원활하게 왕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광해군은 자신의 권력을 지키고자 했던 것이 영화 "광해, 군주의 세 얼굴"의 주된 내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영화는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허구적 요소를 가미하여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전개하...2024.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