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2개
-
비효과적체온조절의위험간호진단2024.09.141. 출생아수와 관련된 통계 현황 1.1. 월별 출생아수 추이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월별 출생아수 추이에 따르면 2019년 1월에는 30,271명으로 가장 많은 출생아 수를 기록했다. 이후 연도별로 감소 추세를 보여 2023년 1월에는 23,279명으로 나타났다. 12월의 경우 2019년 21,228명, 2022년 16,803명으로 1월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전반적으로 출생아 수는 꾸준히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1.2. 영아사망률 추이 영아사망률은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지표로, 출생 후 1년 이내(365일...2024.09.14
-
황달 케이스2024.09.13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신생아 황달은 생후 첫 주 내 만삭아의 약 60%, 미숙아의 약 80%에서 관찰될 정도로 신생아에게 흔히 나타나는 질환 중 하나이다. 이러한 신생아 황달은 주로 혈중 내 빌리루빈의 증가로 인해 나타나게 된다. 신생아 황달에 있어서 광선요법이 혈청 빌리루빈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신생아 황달은 종류가 다양하며, 정상 신생아의 60~80%에서 나타날 수 있는 생리적 황달이 주로 나타난다. 이처럼 신생아에게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황달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고빌리루빈혈증 환아...2024.09.13
-
배꼽.황달 어머니 교육2024.09.17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아동간호학실습1인 광주빛고을여성병원의 신생아실에서 실습을 하면서 신생아들을 살피고 신생아들이 어떤 간호중재를 제공 받는지 자세히 관찰했다. 출생 후 생리적인 황달로 빌리루빈 수치가 증가하여 광선요법 후 8층 신생아실로 이동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초점을 맞춰 간호중재에 따라 신생아들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고 그에 맞는 최선의 간호활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2. 문헌고찰 2.1. 정상신생아 정상신생아는 태내에서 38~40주간 머물다가 전혀 다른 공기 중에 첫 울...2024.09.17
-
신생아황달 간호진단2024.09.181. 신생아 황달 1.1. 정의 및 원인 신생아 황달은 신생아기에 혈중 빌리루빈의 증가로 황달을 나타내는 질환이다. 주요 원인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성숙한 생리적 기능이 주요 원인이다. 신생아기 혈색소의 70%가 수명이 짧은 태아 헤모글로빈으로 구성되어 과다한 적혈구 파괴가 이루어지고, 신생아 간에서 파괴된 적혈구의 산물인 빌리루빈을 제거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발생한다. 둘째, 칼로리 흡수 저하와 탈수도 원인이 된다. 모유 수유량 부족이나 태변 배설 지연 등으로 인한 칼로리 흡수 저하와 수분 섭취 부족으로 인한 탈수가 황달...2024.09.18
-
신생아 case2024.09.251. 신생아 관리 1.1. 신체 발달 특성 신생아의 신체 발달 특성은 다음과 같다. 신생아는 출생 직후 모체의 자궁 환경에서 외부 환경으로 전환되어 급격한 변화를 겪게 된다. 신생아의 피부는 밝고 붉은 색을 띠며 매끄럽고 유연하다. 일반적으로 몸에 생리적인 태지가 덮여 있는데, 이는 상피세포와 피지선의 분비물로 구성되어 있다. 태지는 1-2일 내에 자연스럽게 제거되며, 전신에 걸쳐 부드러운 솜털이 분포한다. 신생아의 얼굴은 할리퀸 색조변화로 인해 하반신은 붉은 색, 상반신은 창백한 모습을 보인다. 또한 불규칙한 진푸른 착색인 몽...2024.09.25
-
간접빌리루빈 19.82024.09.101. 서론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동양계 영아는 평균 빌리루빈 수준이 백인이나 흑인의 2배이다. 또한 질병의 증거 없이도 200명의 모유 수유아 중 약 1명에서 고 빌리루빈혈증이 발생한다. 신생아는 간의 미성숙으로 인해 간접 빌리루빈을 직접 빌리루빈으로 전환하는 효소의 부족으로 빌리루빈이 배설되지 않고 혈액 중에 축적되게 되는데 간접 빌리루빈은 뇌세포에 침착되어 뇌손상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질병이다. 이에 신생아 황달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이다. 1.2. 문헌고찰 1.2....2024.09.10
-
만삭전 조기양막파수 간호과정2024.09.291.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 (PPROM) 1.1. 정의 및 발생 빈도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PROM)은 임신 37주 이전에 양막이 파열된 것을 의미한다.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은 조산의 원인 중 약 20%를 차지하는 비교적 흔한 산과적 합병증이다. 임신 34주 이전에 발생하는 조기양막파열의 경우 태아의 생존율이 낮고 주산기 합병증 발생률이 높아 임상적으로 더욱 중요하다. 대부분의 경우 조기양막파열 후 몇 분에서 몇 시간 내에 진통이 시작되어 조산이 진행된다고 ...2024.09.29
-
두혈종2024.09.281. 서 론 1.1. 연구사례 선정 이유 연구사례를 두혈종으로 선정한 이유는 신생아실에 처음 실습을 와서 관찰한 신생아 간호기록지에서 황달 다음으로 가장 많이 나타난 질환이었기 때문이다. 황달이나 간단한 질환들은 발병률이 많아 언제든지 공부할 수 있고 관찰할 수 있는 반면 두혈종이라는 질병은 생소하기도 하고 잘 보지 못하는 케이스여서 관심이 생겼기 때문이다. 두혈종은 자연분만을 하다가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이지만, 제왕절개분만에서도 볼 수 있다는 것이 신기했고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치유된다는 것도 흥미로웠기에 두혈종을 사례로 선...2024.09.28
-
정상신생아 지식부족2024.10.02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출생 후 1개월 동안을 신생아기라고 한다. 신생아기는 지금까지의 자궁 내 생활에서 자궁 외 생활로 전환되는 시기로 신생아는 여러가지 필요한 생리적 변화를 가져온다. 또한 이 시기는 행동발달의 출발점으로 출생과 함께 환경 자극이나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아 발달하게 된다. 그리고 출생과 더불어 생리적으로 독립된 존재가 된다. 연구주제로 정상 신생아를 선택하게 된 이유는 신생아실에서의 가장 다수의 비율을 차지하며 다른 비정상적 신생아들과 비교할 수 있는 좋은 기준의 자료가 되기 ...2024.10.02
-
고위험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간호과정2024.10.071.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1.1.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의 개요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은 출생 직후 신생아의 혈중 빌리루빈 농도가 증가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다. 신생아의 간 기능이 미숙하여 혈중 빌리루빈을 효율적으로 배설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정상적인 경우 생후 2-3일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생후 5-7일 사이에 최고치에 도달하며, 이후 점차 감소하여 생후 14일 이내에 사라진다.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은 대부분 생리적인 현상으로 대부분의 신생아에게서 나타나지만, 심하게 진행되면 핵황달이나 뇌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2024.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