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개
-
신체기동성장애2024.09.261. 간호진단 및 사정 1.1. 편마비와 관련된 신체기동성장애 편마비와 관련된 신체기동성장애는 뇌졸중 등의 원인으로 인한 한 쪽 몸의 운동기능 저하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이다. 대상자는 오른쪽 편마비로 인해 오른쪽 사지의 자의적인 움직임이 없고, 균형 유지와 보행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운동기능 상태를 정기적으로 사정하여 운동기능 저하로 인한 구축, 족하수, 욕창 등의 합병증 예방에 힘쓴다. 특히 마비된 오른쪽 사지의 순환상태와 피부상태를 세심히 관찰하여 손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중재한다. 간호계획으로는...2024.09.26
-
관절의 가동력 평가 진단(ROM) “문제의 동작 및 약한 근육을 찾아 재활운동 운동법 소개2024.09.141. 상지교차증후군 교정을 위한 웨이트 트레이닝 프로그램 1.1. 서론 1.1.1. 현대인의 목통증 현대인의 목통증은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잦은 사용으로 인해 증가하고 있다. 장시간 책상에 앉아 있거나 컴퓨터로 일하는 사람들은 고개를 앞으로 기울인 거북목 자세를 자주 취하게 된다. 이러한 자세로 인해 척추 부정렬이 발생하고, 상부 승모근과 소흉근, 전거근이 단축되는 반면 중 하부 승모근과 능형근은 늘어나면서 어깨와 목 부분에 과부하가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첫째, 흉추의 가동범위 축소로 ...2024.09.14
-
내측 팔꿉관절 통증2024.10.241. 관절 및 근골격계 질환 1.1. 테니스 엘보(외측상과염) 테니스 엘보(외측상과염)는 팔꿈치의 바깥쪽에 돌출된 부위의 염증으로 동반되는 통증이다. 테니스를 할 때, 바깥쪽 팔꿈치가 반복적으로 무리한 힘을 받게 되면서 발생한다고 하여 테니스엘보 라고 불린다. 팔꿈치는 위팔자관절, 위팔노관절, 몸쪽노자관절로 구성되어 있다. 위팔자관절은 위팔뼈의 먼 쪽 관절면과 팔꿈치 머리, 갈고리 돌기가 둘러싸고 있는 안정된 구조이며, 위팔노관절은 위팔뼈의 먼쪽 관절면과 노뼈머리가 만나면서 이뤄지는 관절이다. 몸쪽노자관절은 노뼈머리와 자뼈의 ...2024.10.24
-
근관절 운동2024.10.281. 근관절운동의 정의와 목적 1.1. 근관절운동의 정의 관절은 근골격계의 기능적인 단위이다. 뼈는 관절로서 연결되고 골격근은 관절에서 두 개의 뼈를 연결시켜 준다. 이러한 근육들은 근관절운동의 종류에 따라 굴근, 신근, 내측 회전근 등으로 분류된다. 만일 운동이나 체위 변화 등을 통해 관절을 펴지 않는다면 근육은 영구적으로 짧아지게 되고 관절은 굽혀진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관절과 근육의 경축을 막기 위해서 실시하는 것이 근관절운동이다. 1.2. 근관절운동의 목적 1.2.1. 관절운동 유지 및 움직임 증진 근관절운동은 ...2024.10.28
-
근막이완의 원리2024.10.291. 정형도수물리치료 1.1. 정의 및 효과 정형도수물리치료란 역학적인 원인으로 일어난 관절이나 연부조직의 신체적 병변을 도수 진단하여 통증 감소, 가동성 증대, 운동제한 등 원래의 기능을 회복 및 유지시키는 비수술적인 방법이다"" 정형도수물리치료의 효과는 관절 신장성 증진, 잘못된 위치를 교정, 관절의 영양증진, 통증조절과 근육이완, 디스크 탈출의 정복, 도수접촉에 따른 심리적 치유 등이다"" 1.2. 근막 이완술 1.2.1. 정의 및 효과 근막 이완술(myofascial release, MFR)은 근막 발통점이나 근섬유증 등...2024.10.29
-
작업치료2024.10.131. 작업치료 평가 1.1. 작업 프로파일(Occupational Profile) OO님은 40세 여성으로, 과거 조선소에서 근무하셨다. 현재는 남편과 함께 15층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으며, 반려묘 두 마리를 키우고 있다. 주로 쉬는 날에는 지인들과 모임을 가거나 카페를 가시고, 휴가 때는 여행을 가시는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에 자주 머리가 아팠으며, 2016년 12월 21일 퇴근 후 샤워 중 쓰러져 중대뇌동맥동맥류파열에 의한 지주막하출혈로 진단받고 수술을 받았다. 그 결과 우측반신마비와 언어장애가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른 재활치...2024.10.13
-
요양원 사례관리2024.09.251. 사례관리 회의록 1.1. OOOOO 센터 사례관리 회의록 OOOOO 센터의 사례관리 회의록에 따르면, OOO 어르신이 새로 주야간보호센터에 입소하여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어르신은 처음에는 밝게 웃고 즐거워했지만 얼마 전부터 어둡고 다른 어르신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요양보호사들에 의하면 다른 어르신들과 함께 식사할 때도 혼자 드시고 말씀도 없으며 웃음기도 없어 잘 어울리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간호사는 어르신의 내성적인 성격이 그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선생님들이 어르신과 ...2024.09.25
-
special test2024.09.071. 상지 검진 1.1. 어깨관절(견관절) 검진 1.1.1. Yergason test 요르가손 테스트(Yergason test)는 상완 이두근 장두의 안정성(아탈구) 검사를 위한 방법이다. 환자는 앉거나 서서 주관절을 90도 굴곡한 상태에서 전완을 회내전 한다. 검사자는 한 손으로 환자의 전완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상완의 위팔두갈래근고랑(bicipital groove) 근처를 잡는다. 검사자는 환자에게 전완을 회외전하면서 동시에 상완을 외회전하도록 지시하고, 이때 저항을 가한다. 이 검사에서 위팔두갈래근고랑(bicipi...2024.09.07
-
인공슬관절치환술 간호진단2024.08.291. 간호과정: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TKRA, total knee replacement angioplasty) 1.1. 간호사정 1.1.1. 주관적 자료 대상자는 "수술한 데가 아픕니다.", "무릎이 쑤시는 것 같아."라고 진술하였다"" 이는 수술 후 발생한 급성통증을 호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수술 부위의 외과적 절개와 보형물 삽입으로 인한 통증을 경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대상자는 수술 직후 마취에서 의식이 회복된 상태로, 양쪽 무릎에 쑤시고 욱신거리는 통증을 호소하고 있다. 이는 수술로 인한 외과적 절개와 인공 보...2024.08.29
-
신체 기동성 장애2024.09.051. 편마비와 관련된 신체기동성 장애 1.1. 간호 진단 편마비와 관련된 신체기동성 장애에 대한 간호 진단은 다음과 같다. 간호 진단 #. 편마비와 관련된 신체기동성장애(Impaired Physical Mobility)이다. 이는 "NANDA 정의에 따르면 신체 또는 한 개 이상의 사지에서 독립적이고 목적이 있는 신체적 움직임의 제한"을 의미한다. 이는 대상자가 "오른쪽이 잘 안 움직인다", "젓가락질이 힘들어" 등의 주관적 자료와 "편마비, 마비된 쪽의 자의적인 움직임 없음, 균형을 잘 잡지 못하고 오른발을 질질 끌 듯 움...2024.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