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초등 영어 과업 기반 교수법2024.09.281. 영어교육에서의 CLL과 TBLT 1.1. Community Language Learning(CLL) 수업의 이론적 배경 Community Language Learning(CLL) 수업의 이론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CLL은 학생들을 전 인격체로 대하는, 전인격 학습에 기반을 두고 있다. 지적인 능력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감정, 신체적 반응, 본능적인 방어기제, 학습 의욕 등까지 고려해야 한다. 학생들이 새로운 지식을 배울 때 실패의 두려움을 느끼면 학습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교사는 이들이 ...2024.09.28
-
-아/어 있다 한국어 교안2024.10.311. 수업 개요 1.1. 교수-학습 목표 교수-학습 목표는 수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학습 목적을 의미한다. 본 수업의 교수-학습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문법 [-아/어 보다.]를 통해 권유 표현을 말할 수 있다. 2. 친구들에게 좋아하는 것을 권유할 수 있다. 3. 한국 음식을 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권유 표현을 활용하여 자신의 의견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한국 음식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친구들과의 대화에서 자신의 선호도를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2024.10.31
-
성적표2024.10.171. 성적 통지표 기재 문구 1.1. 기재 예시 1 ○○이는 무슨 활동이든지 열심히 참여하고 적극적으로 학교생활을 합니다. 수업 시간에 선생님에게 집중하고 자신이 열심히 잘 듣고 있음을 표현하여 ○○이에게 자꾸 시선이 머물기도 합니다. 모둠 활동에 있어서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며 잘 해내려고 친구들과 협력하고 노력합니다. 자신의 과제나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집중하여 잘하고 끈기 있게 마무리합니다. 신체적인 활동을 정말 좋아하여 체육 시간에 자신의 기량을 맘껏 발휘합니다. 또한 친구 관계가 원만하며 반에서 친구들에게 인기가 좋습니다....2024.10.17
-
절차 중심 교수요목을 설명하고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바랍니다2024.12.051. 절차 중심 교수요목(과정 지향적 교수요목) 1.1. 개념과 특징 1.1.1. 배경과 개념 절차 중심 교수요목(과정 지향적 교수요목)의 배경과 개념은 다음과 같다. 절차 중심 교수요목(procedural syllabus)은 학습 내용보다는 학습 과정의 측면에서 목표언어를 사용해 달성해야할 과제(task)를 상세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내용을 조직하는 교수요목이다. 이는 프라부(Prabhu)가 1972년에 개발한 의사소통 교수법(Communicational Teaching Project, CTP)에서 시작되었다. 프라부는 ...2024.12.05
-
논증문 ai2024.12.171. 생성형 AI 사용이 학업역량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1.1. 서론 1.1.1. 연구 동기 및 목적 ChatGPT는 2022년 11월에 출시된 이후 현재 1년 6개월여의 시간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텍스트 생성에 대한 뛰어난 성능으로 인해 교육계에 범세계적 충격을 주었다. Chat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AI가 생성한 인공 텍스트의 특징은 '그럴듯하다'라는 표현으로 함축될 수 있다. 이는 ChatGPT의 산출물이 인간이 고도의 인지적 활동으로 생산한 텍스트와 견줄 수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그 품질이 제법 훌륭하다는 의미를 내포한...2024.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