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절차 중심 교수요목2024.08.191. 서론 1.1. 과정 중심 교수요목의 대두와 한국어 교육의 변화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그 구성 또한 외국인, 동포, 입국자 등 다양해지고 있다. 학습 목적 또한 한국 문화 콘텐츠 습득이나 여행 같은 개인적인 것에서 대학 진학이나 취업과 같은 경제적 목적 등으로 다양해졌다. 이에 따라 기존 문법 중심의 한국어 교수법만으로는 수요에 적절히 대응하기 어려워졌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교수요목의 패러다임이 결과 중심에서 과정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한국어 교육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전통적 의미의 교수요...2024.08.19
-
절차 중심 교수요목 한국어 교육 적용 방안2025.01.291. 서론 교수요목의 유형은 결과와 과정이라는 기준을 따라 결과 중심 교수요목과 과정 중심 교수요목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과정 중심 교수요목은 학습 내용이 아닌 학습 과정을 중시하는 요목으로, 언어 항목을 선정하여 등급화 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의사소통 상황 안에서 스스로 규칙을 습득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절차 중심 교수요목(과정 지향적 교수요목)을 설명하고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해볼 것이다. 절차 중심 교수요목은 학습자들이 수행해야 할 학습 과제 상세화로부터 시작하는 교수요목...2025.01.29
-
대체교재로 부교재을 사용할 때 장,단점2024.08.311. 서론 교수요목(Syllabus)의 정의는 '무엇을 가르치고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목록과 내용'을 말하는 것으로 사전적인 의미는 '학교 교육에서 교과목마다 반드시 가르쳐야 할 줄거리'이다. 또 다른 의미로는 '한 교과의 교육 내용을 주제별 항목으로 조직하여 열거한 것.'이다. 따라서 교수요목은 그 교과에 어떤 내용 항목들을 포함하는가를 보여준다. 교수요목은 결과 지향적 교수요목과 과정 지향적 교수요목으로 분류된다. 이번 과제에서는 각기 다른 성격을 가진 기관의 한국어 초급 교재 3종을 조사하여 여기에 어떠한 교수요목이 적용되었는...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