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한일관계의 이해2024.10.231. 서론 벌써 21세기가 시작된 시점에서 한국은 아직도 씻겨지지 않은 큰 아픔을 안고 있다. 바로 지난 36년 간 일제식민지 시대를 살아왔던 그 상처와 종속의 굴레가 21세기 들머리에 들어선 현시점에 있어서도 치유되고 벗겨지지 않고 있는 것이 그 아픔이다. 그로 인해 한국과 일본은 바로 인접한 국가대 국가로서 대등한 동반자적 관계를 쌓아가지 못하고 아직도 불신과 반목을 계속하는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현실이다. 하지만, 우리가 살아가는 데에 있어서 일본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우리는 일본에게 ...2024.10.23
-
킬링 필드2024.12.171. 캄보디아 킬링필드 1.1. 사건 개요 캄보디아의 공산 혁명을 통해 '민주캄푸치아(1975~1978)'를 출범시킨 폴 포트(Pol Pot, 1928~1998)는 자신의 급진적 사회주의 정책과 반베트남 인종주의를 바탕으로 캄보디아를 개조하기 시작했다. 이상적인 농촌 공산사회를 건설한다는 명목 하에 전국적으로 이삼백만 명의 인구를 농부로 신분을 바꾸어 시골 지역으로 이주시켰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노약자와 환자, 어린이들이 말라리아와 풍토병에 시달려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했고, 이탈자들은 잔인하게 처형되었다. 크메르루주의 집권 3...2024.12.17
-
식민지근대화2024.09.051. 식민지근대화론의 이해와 쟁점 1.1. 식민지경제사의 전개 1.1.1. 자본주의 맹아론과 식민지수탈론 '자본주의 맹아론'(내재적 발전론)은 조선후기 사회 경제의 발달에 주목하여 식민지 시대 이전에 조선의 자생적인 근대적 자본주의 경제가 발달하기 시작했다는 설이다. 영국의 자본주의 성립을 설명하면서 봉건제의 해체와 그와 같은 변동을 주도한 '경영형 부농', '선대제 수공업'과 같은 맹아적 요소가 있었다는 연구에서 이론적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자본주의 맹아론을 강조하면 역사발전단계에서 자본주의는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이...2024.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