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공학윤리의 관점에서 본 성수대교 붕괴사건2024.10.041. 성수대교 붕괴사고 1.1. 성수대교에 관한 기본적 지식 성수대교는 서울시 성동구 성수동(聖水洞)과 강남구 압구정동(狎鷗亭洞)을 연결하는 다리로, 1977년 4월 착공하여 1979년 10월 준공되었다. 길이가 1,161m, 폭이 35m(8차선)이며, 한강의 11번째 다리이다. 이 교량은 최초로 120m의 장경간(長徑間)으로 건설되었으며, 게르버트러스교(橋)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즉 주경간부의 앵커 트러스와 핀으로 연결된 48m의 중앙 현수지간을 갖는 구조이며, 용접과 고장력볼트(마찰접합) 접합 방식에 의한 시공이 이루어졌다....2024.10.04
-
엔지니어의 비밀 유지 의무2024.10.131. 공학윤리의 중요성 1.1. 공학의 정의와 특성 공학은 과학적 지식과 기술적 수단을 이용하여 가장 경제적인 방법으로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학문이다. 과학이 자연현상에 대한 원리나 법칙을 탐구하는 것이라면, 공학은 그러한 과학적 지식을 실제로 적용하여 구체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과학과 공학은 지향하는 목적이 다르며, 과학자와 공학자의 역할과 윤리적 책임도 구별된다고 할 수 있다. 공학의 주된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학은 과학과 달리 실용성을 중시한다. 즉, 공학은 인간의 실제적인 필요와 요구에 ...2024.10.13
-
성수대교 붕괴 쟁점2024.10.081. 건축공학의 개요 1.1. 건축공학의 개념 건축공학은 크게 건축구조, 건축 환경계획, 건축설비, 건축시공 등 4가지 분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건축구조란 건축물의 뼈대인 골조, 기둥, 보, 바닥 등의 강도나 변형을 연구하고 구조 재료가 되는 철근이나 철근 콘크리트의 재질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건축 환경계획은 건물 환경, 특히 실내 환경에 영향을 주는 음향, 채광, 조명, 일조, 온습도 등을 연구하여 이를 보완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건축설비는 급배수, 냉난방, 공기조화, 전기, 소화설비 등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마지막으로 ...2024.10.08
-
성수대교 붕괴 사고 사실적 쟁점2024.10.081. 건축공학과 윤리 1.1. 건축공학의 개념 건축공학이란 크게 건축구조 ·건축 환경계획 ·건축설비 ·건축시공의 4가지 분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건축구조를 살펴보면, 건축구조는 건축물의 뼈대인 골조, 기둥, 보, 바닥 등의 강도나 변형을 연구하고 구조 재료가 되는 철근이나 철근 콘크리트의 재질을 연구한다. 건축환경계획은 건물환경 특히 실내 환경에 영향을 주는 음향, 채광, 조명, 일조, 온습도 등을 연구하며 이러한 것들을 보완하는 연구를 한다. 건축설비는 급배수, 냉난방, 공기조화, 전기, 소화설비 등을 연구한다. ...2024.10.08
-
건설산업의 지업 윤리2025.01.241. 건설산업의 지업 윤리 1.1. 직업과 윤리 직업은 개인의 생활수단이자 사회적 존재의 근간이 되는 활동이다. 따라서 직업활동에서 윤리적 문제가 발생할 경우 개인과 사회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직업윤리는 직업활동에서 요구되는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것을 말한다. 직업윤리에는 세 가지 원칙이 있다. 첫째, 전문성 원칙으로 직업에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을 숙달하고 이를 최선을 다해 발휘해야 한다. 둘째, 성실성 원칙으로 공정하고 정직한 태도로 직무를 수행해야 한다. 셋째, 사회적 책임 원칙으로 자신의 전문직이 사회에 미치는 영...2025.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