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목민심서2024.10.131. 목민심서 개요 1.1. 목민심서 소개 목민심서는 다산 정약용이 1818년에 저술한 저서로, 지방 관리들의 폐단을 비판하고 백성들의 고통을 헤아리며 목민관이 갖춰야 할 덕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목민심서는 제1장(부임)부터 제12장(은퇴)까지 다양한 방면에 대해 다루고 있다. 법, 정치, 마음가짐, 농업, 군사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관리들의 역할과 자세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고 있다. 특히 청렴성과 검소함, 백성에 대한 관심과 배려, 인재 등용과 상하 관계, 국정 운영과 개혁 사상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다루고...2024.10.13
-
한국도로공사서비스(주) 직원으로서 지켜야 하는 청렴 및 윤리의식2024.10.221. 서론 우리나라 공직자는 국민의 의사에 따라 움직이는 대리인으로 활동하며, 조직 내에서 직위의 명령을 받는 국민의 대리인으로서 내적·외적으로 복합적인 역할을 맺고 있다. 공무원이 사적인 이익을 추구할 경우에, 공직의 본연의 자리에서 벗어난 개인 이익 추구에 해당이 되며, 이는 공무원의 부정부패이자, 공직 윤리성 부재라는 이해충돌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해충돌이란 사적인 이익과 개인의 사적 이익을 취할 수 있는 지위에 있는 상황을 뜻한다. 이해충돌의 발생은 부정부패와 비리 단계로 넘어갈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2024.10.22
-
공직자에게 요구되는 윤리및덕목2024.08.311. 공직자 윤리와 청렴성 1.1. 공직자의 청렴성과 윤리의 중요성 공직자의 청렴성과 윤리는 국가 사회의 안정과 질서 수준을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이다. 공직자에게는 일반 국민이나 다른 직업인에게 요구되는 것보다 더 높은 윤리 규범, 즉 공직을 우선시 하는 봉사 정신과 부정부패를 척결하는 청렴결백이 요구된다. 이는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는 국민의 대리인이기 때문이다. 국민적 신뢰가 바탕이 되어야 원활하고 올바른 국정수행을 펼칠 수 있기 때문에 공직자에게 윤리와 도덕성은 필수적으로 갖추어야할 덕목이다. 현대에 이르러 특히 공직 윤리...2024.08.31
-
청렴사행시2024.08.281. 부패방지법의 쟁점 분석 1.1. 머리말 우리 나라에서는 정부가 새로 출범할 때마다 부정부패의 척결을 우선적인 국정과제로 천명하면서 역대 정부가 나름대로의 반부패정책 프로그램을 추진하여 왔다. 초대 대통령 취임사에서 이승만 대통령은 "부패한 백성으로 신성한 국가를 이루지 못하나니"라고 말하면서 부정부패의 강력한 척결의지를 피력하고 있다. 이러한 의지의 피력은 곧바로 정권출범 초기에 국민들에게 청교도적인 청렴의 이미지를 심어주었던 것도 사실이다. 제3공화국에 와서는 '부정축재자처벌법'이 제정되었고, 제4공화국에서는 서정쇄신운동을...2024.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