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감정평가3방식을 비교분석2024.11.251. 부동산 공시제도 1.1. 공시지가 제도 부동산 공시는 부동산에 대한 일정한 사항을 공개적으로 알리는 제도로 부동산과 관련된 법률 관계를 널리 알리는 등기 제도와 부동산의 가격을 알리는 가격 공시 제도가 대표적이다. 이 중에서도 부동산 가격 공시 제도는 토지, 주택 등 부동산의 적정 가격을 공시하는 제도이다. 현행 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에서는 토지에 대해서는 공시지가 제도를, 주택에 대해서는 주택가격 공시 제도를 규정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주택보다는 토지 가격의 공시, 즉 공시지가 제도가 더 많이 활용된다. 여기서 ...2024.11.25
-
학업 계획서2024.08.121. 서론 1989년 토지공개념에 근거한 택지소유상한제, 토지초과이득세제, 개발부담금제가 출범하면서 다원화되어 있던 토지가격체계를 일원화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1989. 4. 1. 「지가공시 및 토지 등의 평가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으며, 이후 동법은 2005. 1. 14. 주택가격공시제도의 도입과 함께 「부동산가격고시 및 감정평가에 관한 법률」로 개정되어 오늘날 부동산가격공시제도의 근간이 되었다. 그간 부동산가격공시제도는 지가안정과 공익사업의 효율적 시행이라는 정책성과를 거두어온 반면, 지나치게 낮은 가격공시의 반복...2024.08.12
-
토지 보상2025.01.181. 토지 보상 감정평가 1.1. 토지보상감정평가의 대상 토지 토지보상감정평가의 대상 토지는 공익사업의 시행으로 인하여 취득할 토지로서 사업시행자가 보상감정평가를 목적으로 제시한 것으로 한다. 대상토지의 현실적인 이용상황 및 면적 등은 사업시행자가 제시한 내용에 따르되, 일부 경우에는 사업시행자에게 그 내용을 조회한 후 목록을 다시 제시 받아 감정평가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수정된 목록의 제시가 없을 때는 당초 제시목록을 기준으로 감정평가 하되, 감정평가서에 현실적인 이용상황을 기준으로 한 단위면적당 가액 또는 면적을 ...2025.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