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한바다호2024.09.121. 소설 《해저 2만리》 1.1. 줄거리 요약 1866년에 정체 모를 괴물이 출현하여 배들을 침몰시킨다. 하로낙스 박사는 사람들과 함께 링컨호를 타고 떠났는데 괴물에 의해 공격을 받는다. 아로낙스 박사, 콩세유, 네드 랜드만이 살아남았는데 그 괴물의 정체는 잠수함 노틸러스호였다. 이 세 명은 어쩔 수 없이 노틸러스호에서 지낸다. 바다 밑의 크레스포 섬에서 사냥을 하기도 하고 산호 묘지나 탄광을 구경하면서 살아간다. 얼음 밑에 갇혀서 대왕오징어로부터 습격을 받기도 하는 등 위기를 겪기도 한다. 노틸러스호가 자신이 공격을 받았던 전...2024.09.12
-
신영복 담론2024.10.211. 담론 -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1.1. 서론 주지하다시피 신영복 선생의 글은 차분하면서도 자신의 의사를 명확하게 표현하는 것으로 정평이 나있다. 나의 경우는 이 담론을 읽어보기 전에 그의 2권의 책을 미리 본 바 있으며, 직접 그의 강의를 들어본 바 있다. 내가 사전에 읽어본 그의 책은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와 『강의: 나의동양고전독법』인데, 전자의 책은 수감기간에 저자가 겼었던 생활을 '감내(堪耐)'하는 모습이 잘 드러나 있고, 『강의: 나의동양고전독법』은 '사회성', '공동체성'이라는 카테고리 안에서 동양 고전을 이해하는...2024.10.21
-
자기효능감올리는법2024.10.281. 비행 청소년 상담에서의 사회학습이론 적용 1.1.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의 주요 개념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의 주요 개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방이다. 반두라는 인간이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함으로써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관찰자는 모델이 하는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행동을 학습할 수 있다. 모방은 사회학습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이다. 둘째, 인지이다. 반두라는 사회학습이 인지적인 활동이라고 보았다. 인간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고 새로운 행동 형성 과정을 인지함으로써 행동을 ...2024.10.28
-
공부에 필요한 능력에 대한 생각 바꾸기2024.10.221.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공부법 1.1. 책을 읽은 동기 나의 유년 시절에는 공부를 왜 해야 하는지도 잘 모르겠었다. 하지만 성인이 되고, 결혼, 직장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공부의 필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배우자, 아빠, 직장인으로서의 다양한 역할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삶을 이해하고 배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사실 여전히 공부법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지만,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공부법"이라는 책을 통해 공부하는 방법을 배우고 싶었다. 또한 이 책을 통해 나의 인생에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다시 한 번 생각...2024.10.22
-
상상력과 대안2024.12.151. 상상력과 대안 1.1. 허심과 터닝포인트 허심과 터닝포인트는 새로운 것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교수님께서는 인재의 머릿속에는 학습능력으로 꽉 차있는 줄 알았지만, "창의 융합형 인재 토크쇼"를 보고 허심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하셨다. 허심은 모든 사람에게 필요한 것으로, 자신의 생각만을 고집하는 사람은 결코 성공할 수 없다. 비망록이란 매 순간 잊지 않기 위해 기록하는 것으로, 지식이나 정보 위주가 아닌 수업을 들은 후 바뀐 시각의 변화인 "터닝포인트"를 정리하는 것이다.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나서 기존에 가...2024.12.15
-
창작 시나리오2024.11.261. 새로운 문서의 목차 1.1. 천둥의 왕(가제) 1.1.1. 그리스 신화와 한국의 위인들 그리스 신화와 한국의 위인들은 서로 닮은 점이 있다. 그리스 신화의 최고신 제우스와 조선의 대표적인 위인인 세종대왕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제우스는 그리스 신화의 최고 신으로 하늘과 번개를 다스리는 신이었다. 세종대왕은 조선시대의 임금으로 한글을 창제하고 여러 가지 과학기술과 문화 발전에 많은 공헌을 했다. 두 인물 모두 자신의 영역에서 지혜롭고 공정한 모습을 보였으며, 백성들에게 존경을 받았다는 점에서 유사하다고 볼 수 있...2024.11.26
-
카페를 찾는 이유2025.01.311. 서 론 1.1. 카페에서의 공부와 그 문제점 현대인들에게 카페는 단순한 음료를 판매하는 가게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사람들을 만나고 대화를 나누며 잠시의 여유를 누릴 수 있는 장소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이러한 카페의 기능에 차질이 생기고 있는데, 이는 카페에서 자리를 점유하고 장시간 공부하는 '카공족'으로 인해서이다. 카페에서 공부를 하는 이들은 도서관과 달리 적절한 소음이 있어 집중력을 높일 수 있고, 전기 콘센트나 화장실 등의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어 효율적인 공부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카페를 찾...2025.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