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광운대 생활속의디자인2024.09.111. 공공미술의 실례와 영향 1.1. 인천 동화마을 기린벽화 인천 동화마을 기린벽화는 인천벽화마을에서 가장 유명하고 사진 촬영이 많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이 벽화에는 한 마리의 기린이 그려져 있는데, 대부분의 관광객들이 벽화 위의 계단에서 사진 촬영을 한다. 벽화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면 마치 기린이 관광객을 쳐다보는 것 같은 느낌이 들며, 기린의 익살스러운 표정으로 인해 관광객들의 기분을 좋게 해준다. 또한 벽화에 사용된 색감이 동화마을의 특징을 잘 표현하고 있어 동화 같은 분위기를 연출한다. 이처럼 인천 동화마을 기린벽화는...2024.09.11
-
국내,외 외부 건축물 및 경관 시설물의 공공 디자인 정책 비교 분석2024.10.151. 참여 디자인과 도시문화 1.1. 참여디자인의 개념 참여디자인(Participative design)이란 디자인 주체의 공공성과 민주성, 다양성을 확보하는 작업을 말한다. 도시의 디자인 사업과 계획 부분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나갈 수 있도록 효율적인 도시디자인 체계를 구축하는 관계와 과정의 디자인이다. 우리와 쉽게 접할 수 있고 가까운 사용자 참여디자인은 구체적으로 건물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직접 참여하는 방식으로도 볼 수 있으며 건물의 사용자와 건축가와 여러 방법의 소통 과정을 통해 사용자에게 실용적인 공간을 구성해 디자인하는 ...2024.10.15
-
미술관에 간 물리학자2024.10.061. 근대적 박물관과 사람들 1.1. 시작하면서 한국의 박물관 발달사는 Ⅰ. 근대박물관 이전의 단계(1907년 이전), Ⅱ. 근·현대박물관 단계, Ⅲ. 미래 박물관의 시대(시공을 넘나드는)로 구분될 수 있다. 그 중 Ⅱ. 근·현대박물관 단계에 대해서 살펴보면, 1. 여명기(1908~1945년)의 박물관 발달사는 박물관제도의 도입, 2. 혼란기(1946~1960년)의 박물관 발달사는 정치·조직의 개편, 3. 안정기(1961~1973년)의 박물관 발달사는 경제·교육의 안정(산업화와 대학박물관 설치), 4. 보급기(1974~1983년)...2024.10.06
-
이것은미술이아니다2024.11.291. 미술의 본질에 대한 재해석 1.1. 근대의 발명품으로서의 미술 우리가 아는 미술은 근대의 발명품이다. 근대 이전에는 현재와 같은 의미의 '미술'이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았다. 세상의 모든 것은 다양한 제도에 의해 형성되고 정의되는데, 미술 작품도 예외가 아니다. 아카데미, 미술관, 화랑, 미술사, 미학 등의 제도들이 미술이라는 개념을 만들어냈다. 이 제도들이 미술 작품에 경계와 관행을 설정해 주었기 때문에, 우리는 어떤 것을 미술로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예를 들어 액자 틀이 그 안에 있는 것을 회화로 보게 만들고, 좌대가...2024.11.29
-
저작권의 이슈2024.09.081. 인공지능과 저작권 이슈 1.1. 인공지능과 저작권 이슈에 대한 개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에 대한 관심과 논의는 새롭게 시작된 내용은 아니다. 그러나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공지능의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인공지능으로부터 생성된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법상 보호의 문제가 실무적인 쟁점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이 생성한 미술 작품에 대한 저작권 등록 신청이 해외에서 진행되면서 이에 대한 각국의 태도와 관련하여 새로운 기사들이 나오고 있다. 구글이 만든 딥 드림 제너레이터(Deep Dream...2024.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