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가스사용시설 안전관리자 문제 및 풀이2024.09.201. 경비 및 경호의 이해 1.1. 경비법의 개념 및 특성 경비법의 개념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경비법이란 경비업의 육성 및 발전과 그 체계적 관리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경비업의 건전한 운영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법이다. 경비법에서는 경비업을 법인이 아니면 영위할 수 없도록 하고 있으며, 경비업의 유형을 시설경비, 호송경비, 신변보호, 기계경비, 특수경비업무로 구분하고 있다. 경비법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비업에 대한 규제와 통제가 강화되어 있다. 경비업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지방경찰청장...2024.09.20
-
경비업법2024.09.101. 경비업법 개정 배경 및 내용 1.1. 경비업법 개정의 배경 경비업법 개정의 배경은 최근 경비원이 개입된 과도한 무력사태 등으로 인해 무력충돌, 폭력사태 등의 사회적 논란에 대한 수용이다. 개정안의 직접적인 계기는 2012년 경기도의 반월공단에서 노조원과 경비업체 간 발생한 폭력사태에서 비롯되었다. 그밖에 2009년 쌍용자동차 사태, 2011년 유성기업 사태 등 용역으로 인해 발생한 폭력문제로 인해 경비업체의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경비업법 개정안이 여야 합의로 개정된 것이다. 1.2. 경비업법 주요 개정 내용 1.2.1. ...2024.09.10
-
경비지도사2024.09.101. 서론 현대 사회는 산업화, 도시화, 정보화로 인해 기존의 생활수준을 한 단계 높여 편리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해주었고, 또한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여러 가지 사회병리현상도 함께 낳게 되었는데, 특히 일련의 강력 범죄는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위협하는 심각한 위험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범죄의 양적 증대와 그 유형의 다양화, 수법의 흉악화, 조직화 등으로 인한 치안수요의 급증에도 불구하고, 민생치안에 대한 경찰의 대처능력은 인력 및 장비의 부족, 업무량의 과중 등으로 인하여 그 수요에 적절히 부응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이...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