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간호학과 해부학2024.10.211. 인체의 구조와 기능 1.1. 해부학적 자세와 용어 해부학적 자세와 용어는 인체의 구조를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해부학적 자세란 팔을 양옆으로 내리고 손바닥과 얼굴이 앞을 향한 채로 똑바로 선 자세를 말한다. 이는 해부학적 용어의 기준이 되는 표준 자세이다. 누워 있더라도 해부학적 자세로 서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흉골은 심장 앞에 있다"고 표현하는 것이 정확하다. "심장 위에 있다"고 표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는 해부학적 자세에서 구조물의 위치를 잘못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2024.10.21
-
단국대학교 외상과 실습 케이스 fracture of intertrochanteric section of femur, closed2024.08.251. 서론 1.1. 골절의 정의 및 유형 골절(fracture)은 뼈나 골단판 또는 관절면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를 말한다. 대개 외부의 힘에 의하여 발생하며, 뼈의 주변에 있는 연부조직이나 장기들의 손상도 흔히 동반된다. 골절은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크게 사지골절, 척추골절 그리고 늑골, 두개골, 안와 등과 같은 기타 골절로 나눌 수 있다. 또한, 골절편의 수에 따라 단순골절과 분쇄골절로 나눌 수 있다. 상처상태에 따라서는 개방골절과 폐쇄성 골절로 구분할 수 있다. 개방골절은 골절 부위의 피부가 손상되어...2024.08.25
-
Patella orif2024.12.311. 서론 1.1. 배경 고령화에 따른 노년층의 증가와 만성질환자의 증가는 골절의 발생률을 증가시키고 있다. 외부적 힘에 의하여 골 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되는 질병인 골절의 손상범위는 경미한 근육염좌에서부터 심한 경우 불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골절의 원인은 자동차 사고, 낙상, 뒤틀림, 기계에 눌리는 압축 손상이거나 병리적 골절 등으로 다양하지만 가장 대표적인 위험요인은 골다공증, 낙상 등이 있다. 노년층의 경우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반사신경이 감소하고 근력이 약해져 자주 넘어지거나 삐끗할 수 있다. 이러한 낙상사고는 골밀도가 ...2024.12.31
-
간호관리 인수인계2024.08.291. 골절의 정의와 분류 1.1. 골절의 정의 골절은 뼈 구조가 부러지거나 손상을 입는 것으로, 외부적 힘에 의하여 골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를 의미한다. 뼈는 일반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것보다 더 큰 스트레스가 가해질 때 골절이 발생하며, 골절로 인한 손상 범위는 경미한 근육 염좌에서부터 심각한 골절로 인한 장애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또한 골절은 심각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 및 간호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1.2. 골절의 분류 1.2.1. 상처 상태에 따른 분류 골절...2024.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