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개
-
도함수의 활용 구조물 강도2024.10.071. 건축재료의 발달과 전망 1.1. 건축재료의 역사적 발전 우리나라에서 고대로부터 사용된 건축재료는 목재, 석재, 기와 및 벽돌, 진흙, 석회 등이다. 목재는 건축재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나 우리나라 기후 특성상 좋은 재질을 가진 큰 목재를 얻기에 불리하였기 때문에 목재의 합리적 활용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이는 한국의 건축문화를 형성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에 비해 석재는 풍부하여 화강암, 편마암, 석회암 등 다양한 종류의 석재가 산출되어 조적식 건축수법이 발달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는 고대부터 중국의 기와 및 벽돌 ...2024.10.07
-
도함수의 활용 건축물 강도2024.10.071. 골재의 함수상태 1.1. 함수의 개념 골재의 함수는 쉽게 말해서 골재가 가질 수 있는 수분의 양을 의미한다. 절대건조상태에서부터 표면건조포화상태가 될 때까지 흡수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을 함수라고 한다. 건조된 골재는 물과 만나면 처음에는 급격하게 수분을 흡수하지만,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수분 흡수가 점차 완만해지다가 어느 시점이 되면 더 이상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다. 엄밀한 의미에서는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흡수할 수 없을 정도로 수분을 많이 머금은 상태가 된 것이다. 골재의 흡수량은 입자의 빈틈 사이에 포함된 ...2024.10.07
-
건축학 정리2024.10.021. 건축재료 개요 1.1. 건축재료의 분류 건축재료는 크게 재질분야별, 사용목적별, 화학조성별, 건물부위별, 공사구분별, 제조공정별로 분류할 수 있다. 재질분야별로는 천연재료인 석재, 목제, 토벽 등과 인공재료인 금속제품, 요업제품, 석유제품 등으로 나뉜다. 사용목적별로는 구조재료인 목재, 석재, 콘크리트, 철강 등과 마감재료인 타일, 유리, 도료 등, 차단재료인 아스팔트, 실링제, 단열재 등, 방화 및 내화재료인 방화문, 내화재 등으로 구분된다. 화학조성별로는 무기재료인 비금속 재료와 금속 재료, 유기재료인 천연재료와 합성수...2024.10.02
-
건축재료 골재 함수상태 설명2024.11.071. 골재의 함수상태 1.1. 골재의 함수상태 분류 1.1.1. 절대건조상태 절대건조상태는 골재를 100℃~110℃에서 24시간 이상 건조시켜 더 이상 중량 변화가 없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골재 내부의 모든 수분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로, 골재의 함수량이 0%인 것을 의미한다. 이 상태에서는 골재 입자 사이의 빈틈(공극)이 완전히 비어있으며, 골재의 표면과 내부가 모두 완전히 건조된 상태이다. 절대건조상태의 골재는 다른 함수 상태의 골재와 비교할 때 가장 작은 체적과 무게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절대건조상태의 골재는 실제 콘크리...2024.11.07
-
건축재료 골재 함수상태 분석2024.11.071. 골재의 함수 상태 1.1. 골재의 함수상태 골재의 함수상태는 크게 절대건조상태, 기건상태, 표면건조상태, 습윤상태의 4가지로 구분된다. 절대건조상태는 골재를 105℃±5℃에서 24시간 이상 건조시켜 모든 수분이 제거된 상태이다. 기건상태는 골재 표면의 수분이 제거되었지만 내부에는 약간의 수분이 포함된 상태이다. 표면건조상태는 골재 내부가 물로 포화되어 있고 표면수는 제거된 상태이다. 습윤상태는 골재 내부와 표면 모두 물로 포화된 상태이다. 골재의 함수상태에 따라 콘크리트의 품질에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된다. 골재가 절대건...2024.11.07
-
굵은골재 밀도 및 흡수율 고찰2024.10.141. 골재의 정의와 특성 1.1. 골재의 정의 골재는 한국공업규격(KS규격)에서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만들기 위해 시멘트와 물에 혼합되는 불활성 재료이며 모래, 자갈, 부순돌 그 밖에 비슷한 재료를 통칭한다. 골재는 견고하고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있다. 1.2. 골재의 역할 골재는 콘크리트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콘크리트 체적의 약 70-80%를 차지한다"". 골재는 모르타르와 콘크리트에서 양을 늘려주는 증량재 혹은 공간을 메우는 충전재의 역할을 한다"". 또한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내부의 공간 사이에 강도가 강하고 화학적으로 안정...2024.10.14
-
철근콘크리트 6장2024.10.141. 철근 콘크리트의 정의 및 역사 1.1. 철근 콘크리트의 개요 철근 콘크리트는 포틀랜드 시멘트와 골재 및 물이 일정한 비율로 배합되어 이루어진 콘크리트에 철근이 보강되어 경화되면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구조체를 말한다. 철근 콘크리트는 개발된지 140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지만, 높은 경제성과 시공성, 내구성, 조형성 등의 장점으로 구조재료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되어 각종 용도의 구조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1.2.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역사적 배경 기원전 30세기 경에 고대 로마인들은 화산재의 퇴적에 의하여 생긴 응...2024.10.14
-
고강도 콘크리트 사례 분석 및 적용2024.12.091. 서론 콘크리트는 사회기반시설물 및 민간 구조물 구축에 지금까지 가장 많이 이용된 대표적 건설재료이다. 오늘날 경제ㆍ사회ㆍ문화 전반에 걸친 급속한 발전은 교량,도로,철도 등의 사회기반시설물에 대한 수요를 대량으로 창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구조물은 대형화ㆍ고층화ㆍ장대화 되고 있으며, 건설재료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콘크리트 재료에도 시공성ㆍ강도ㆍ내구성이 향상된 고성능 콘크리트(High Performance Concrete, HPC)의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고성능 콘크리트는 크게 고강도 콘크리트, 고내구성 콘크리트, 고...2024.12.09
-
시멘트 모르타르 실험 방법 및 결과 분석2024.10.291. 시멘트 모르타르 압축강도 실험 1.1. 실험의 개요와 목적 시멘트 모르타르 압축강도 실험은 시멘트의 품질검사, 시멘트의 품질보증과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 이용하기 위해 실시한다. 또한 시멘트 모르타르 압축강도 시험은 시멘트 자체의 압축 강도를 파악하고, 실제 구조물에 사용되는 시멘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추정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서 시멘트 모르타르 실험은 모르타르가 압축과 인장에 견디는 정도를 실험하여 구조물이 압축에 견딜 수 있는 정도를 추정할 수 있는 중요한 실험이다. 1.2. 이론 모르타르(콘크리트의 한 종류로 시멘트...2024.10.29
-
포틀랜드 시멘트 성분2024.09.091. 시멘트 개요 1.1. 시멘트의 개념 넓은 뜻으로 "시멘트"는 물질과 물질을 접착하는 물질을 말하나, 일반적으로는 토목·건축용의 물 또는 염류용액으로 반죽하였을 때 경화하는 무기질 교착재료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주성분이 규산(SiO2), 알루미나(Al2O3), 산화철(Fe2O3) 및 산화칼슘(CaO)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멘트는 주요 건설자재로서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를 주 원료로 한 2차 제품용에 사용한다. 슬레이트·기와·기포(氣泡) 콘크리트 등 생활주변에서 시멘트 제품을 볼 수 있다. 1.2. 시멘트의 역사 시멘트의 역사는 ...2024.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