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개
-
고칼륨혈증2024.09.191. 전해질 불균형 1.1. 호흡성 산증과 대사성 알칼리증 호흡성 산증은 폐에서 이산화탄소를 적절히 제거하지 못해 탄산이 과잉된 상태이다. 이는 호흡근의 마비에 따른 환기 저하, 폐기종이나 마취제 등 연수의 호흡중추가 억제되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호흡성 산증은 혈액완충제로 수 초 이내에 교정 가능하고, 수 시간 내에 신장은 수소이온을 배출하여 보상된다. 또한 암모니아 이온(NH4)의 형성과 배출, 중탄산 이온(HCO3-)의 보유와 염소(Cl-)의 배출로 보상된다. 호흡성 알칼리증은 탄산의 과다한 소실이 있을 때 발생하며, ...2024.09.19
-
임종환자간호2024.09.191. 상황별 환자 간호 1.1. 격리환자 간호 격리환자 간호는 공기주의 격리, 비말주의 격리, 접촉주의 격리 등 환자의 감염 경로와 증상에 따라 달리 적용된다. 공기주의 격리는 활동성 결핵, 홍역, 수두, 파종성 대상포진, 신종호흡기 감염병 등의 환자에게 사용되며, 음압실에 입원시키고 N95 마스크를 착용한다. 환자의 병실 밖 이동은 진단 및 치료 목적으로 제한된다. 비말주의 격리는 인플루엔자, 뇌수막구균, 백일해, 신종호흡기 감염병 등의 환자에게 적용되며, 가능하면 1인실에 배치하거나 코호트 제자리 격리를 실시한다. 보호구로...2024.09.19
-
다발성골수종 응급실2024.11.031. 서론 1.1. 다발성 골수종 사례연구의 선정 이유 00병동에는 다발성 골수종으로 진단받은 환자가 4명 정도 있었고 그 중 2명은 연명 치료자로 더 이상의 항암요법은 받고 있지 않았다"" 다발성 골수종은 혈액암의 일종으로 예후가 좋지 않아 다른 암 질환에 비하여 흔한 질병은 아니지만 꾸준히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조기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이번 케이스 환자는 고령인데다 주진단 이외에도 부가적인 간호문제가 많았기 때문에 장기입원을 하면서 복합적인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였다"" 아직 수업시간에 집중적으로 다뤄보지...2024.11.03
-
부갑상샘기능항진증2024.09.121. 부갑상샘 기능장애 1.1. 부갑상샘의 구조와 기능 부갑상샘은 갑상샘의 뒤쪽에 위치하는 4개의 작은 내분비샘이다. 이 부갑상샘은 부갑상샘호르몬(PTH)을 생산하고 분비한다. PTH는 혈청 칼슘과 인의 농도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PTH는 뼈에서 칼슘의 재흡수를 촉진하여 혈중 칼슘 농도를 상승시키고, 신장에서 칼슘의 재흡수를 증가시키며 인의 배설을 촉진한다. 또한 PTH는 장관에서 칼슘의 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비타민 D를 활성화한다. PTH의 분비는 주로 혈청 칼슘 농도에 의해 조절되며, 혈청 칼슘 농도...2024.09.12
-
종양내과 다발성골수종 사례 보고서2024.11.29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Multiple myeloma은 두 번째로 흔한 혈액 질환이며 모든 새로운 Carcinoma 사례의 약 1-2%를 차지한다. 전 세계적으로 100,000명당 1.7명이 진단되며, 2020년 EU(유럽연합)에서는 약 40,000명의 환자가 진단되었고 이 질병으로 인해 약 23,500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의 63~90%는 골의 동통을 주호소(CC, chief complaint)로 내원하며 동통은 대부분 Lower back pain(요통)과 rib(늑골)에서 시작된다. 또한 환자는...2024.11.29
-
다발성골수종간호과정2024.11.091. 다발골수종(Multiple myeloma) 1.1. 정의 형질세포는 골수의 조혈모세포에서 유래되며, B 림프구가 항원에서 자극을 받아 최종적으로 분화된 세포이다. 형질세포는 우리의 몸에서 면역체계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며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를 공격하는 항체를 생산한다. 다발성 골수종은 형질세포 골수종으로도 불리며 골수 내에 비정상적으로 형질세포가 증식하는 악성장애이다."" 1.2. 원인 다발골수종의 원인은 불확실하지만, 방사선이나 유기화합물(특히 벤젠), 제초제, 살충제 등에 노출되는 것이 질병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2024.11.09
-
다발성 골수염 간호과정케이스2024.10.141. 서론 1.1. 다발성 골수종 질환 개요 다발성 골수종은 골수 내 악성 형질세포가 침윤되어 전신적으로 뼈를 파손시키는 신생물 질환으로, 형질세포 골수종(plasma cell myeloma)이라고도 한다. 매년 약 12,300명의 환자가 발생하며, 45세 이상에서 호발한다. 특히 남성과 흑인에서 더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정상적인 형질세포는 B림프구가 항원에 자극을 받아 최종적으로 분화된 세포로, 우리 몸의 면역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다발성 골수종에서는 이러한 형질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엄청난 양...2024.10.14
-
plasma cell myeloma case2024.08.171. 서론 1.1. 다발성 골수종 질환의 개요 다발성 골수종은 골수 내 악성 형질세포가 침윤되어 전신적으로 뼈를 파손시키는 신생물 질환으로 형질세포 골수종(plasma cell myeloma)이라고 한다. 매년 약 12,300명에게서 발생되고 있으며 예후가 좋지 않은 편이다. 그 이유는 질병이 진단될 당시에는 이미 척추, 골반, 두개골, 늑골, 쇄골 및 흉골까지 침윤된 상태로, 골격의 파괴가 퍼져있기 때문이다. 치료하지 않으면 진단 된지 약 2년 내에 사망하게 되지만, 초기에 질병이 진단된다면 치료를 통해 생명을 3년에서 5년가량...2024.08.17
-
hyperparathyroidism 증상2024.11.131. 부갑상샘 기능장애 1.1. 구조와 기능 부갑상샘은 갑상샘의 뒤에 위치하는 4개의 작은 선이다"" 부갑상샘은 부갑상샘호르몬(PTH)을 분비하며, 이는 뼈와 신장에 작용하여 혈중 칼슘 농도를 상승시킨다"" 부갑상샘 호르몬은 뼈에서 골재흡수를 촉진시켜 칼슘이 혈액으로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혈중 칼슘 농도를 높인다"" 또한 신장에서는 칼슘을 재흡수하여 혈중 칼슘 농도를 높이고, 인의 배설을 촉진하여 혈중 인의 농도는 감소시킨다"" 부갑상샘 호르몬은 신장에서 비타민 D를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비타민 D인 calcitriol을 생성하는데,...2024.11.13
-
부갑상샘항진증 증상2024.11.131. 부갑상샘 기능항진증 1.1. 부갑상샘의 구조와 기능 부갑상샘은 갑상샘 후면에 부착되어 있는 콩알만한 크기의 샘으로 보통 4개가 있다. 부갑상샘에서는 parathormone(PTH)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이 호르몬은 뼈와 신장에 작용하여 혈중 칼슘 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PTH는 다음과 같이 칼슘과 인의 대사를 조절한다. 첫째, PTH는 콩팥을 통한 칼슘의 배설을 감소시킨다. 둘째, PTH는 인의 배설을 증가시킨다. 셋째, PTH는 골 재흡수를 증가시켜 혈청 내 칼슘량이 정상으로 유지되도록 ...2024.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