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간암 케이스2024.10.111. 간의 기본구조와 기능 1.1. 간 구조 간은 횡격막 아래 RUQ에 위치한 인체에서 가장 큰 소화기관의 장기로서, 체중의 2.5%를 차지한다. 간은 겸상인대에 의해 우엽과 좌엽으로 구분되며 뒷면에는 H모양의 작은 두 엽인 꼬리엽과 네모엽이 있다. 우엽이 좌엽보다 5배 정도 부피가 크며 사이에는 간동맥, 문맥, 쓸개관, 림프관 등이 있다. 융기된 윗 부분은 우측 횡격막 아래 붙어있고 다른 장기와는 다르게 간동맥과 문맥으로부터 이중으로 혈액의 공급을 받는다. 간의 기능 단위는 간세포로 이루어진 간소엽이다. 간세포의 한 면은 간의 ...2024.10.11
-
간암 케이스 스터디2024.09.061. 간암의 개요 1.1. 간암의 정의 간암은 원발성 간암과 전이성 간암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원발성 간암은 간 자체에서 생긴 암을 의미하며 그 중에서도 간세포암종이 가장 대표적이다. 원발성 간암은 주로 간세포, 간 결체조직, 간 혈관이나 담관에서 발생한다. 우리나라에서의 원발성 간세포암은 남자의 경우 위암 다음으로 많은 편이며, 주로 40-50대에 호발한다. 정확히 간암을 정의한다면 간을 구성하던 정상적인 간세포가 악성 세포로 변화하고 무한정 증식하여 간 전체를 벗어나 다른 장기와 조직, 뼈, 뇌 등으로 전이되어 생명을 위협하...2024.09.06
-
간암 간호과정2025.03.181. 서론 1.1. 연구의 배경 간의 구조 및 기능이다. 간은 인체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장기로 몸무게는 약 1,300~1,800g이며 오른쪽 상복부에 위치한다. 간은 겸상인대로 인해 오른엽과 왼엽으로 나뉘며, 간소엽이 간의 기본 기능 단위이다. 간소엽은 주세포인 간세포로 구성되어 있고, 간세포와 혈관 사이에서 물질 교환이 이루어진다. 또한 간에는 쿠퍼세포가 있어 대식작용을 수행한다. 간은 매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 간은 하루에 600~1,200mL의 담즙을 생성하여 분비하며, 이 담즙에는 지방을 유화시키는 담즙산염...2025.03.18
-
간암 통합실습 케이스 스터디 A2025.04.051. 서론 간암은 전체 암 발생의 6.1%를 차지하며 7위를 기록하는 주요 암 질환이다. 발병연령이 60대가 가장 많으며 50대, 70대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대부분의 간암 환자는 이미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서 진단되며, 완치를 목표로 하는 치료법이 대략 30% 전후의 환자에게만 시행되고 있어 다른 암종에 비해 전반적인 생존률이 저조한 편이다. 이에 간암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임상 양상을 비교 분석하고,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간호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2.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의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