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개
-
재개명2024.09.221. 조선의 마지막 군주, 고종 1.1. 개요 비운의 왕, 망국의 황제라고 불리는 고종(高宗, 1852년~1919년, 재위 1863년~1907년)은 조선의 제26대 국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이다. 일본에게 나라를 빼앗긴 비운의 군주로, 각종 영화나 드라마, 소설에서 시대적 배경을 다룰 때 자주 등장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고종은 재위 초반에는 흥선대원군의 섭정을 받다가 1873년 친정을 시작했다. 1876년 강화도 조약으로 개항을 하고 내정개혁 및 개화운동을 전개했으나, 임오군란과 갑신정변으로 나라가 혼란스러웠다. 1894년 동...2024.09.22
-
윤용선2024.10.051. 서론 서울에서 가장 한국근현대사의 흔적이 가장 많이 남아있다고 할 수 있는 정동은 조선 후기인 19세기 후반 서구 열강의 공사관이 밀집해 있던 곳으로, 그들이 서로 조선에 더 큰 영향권을 행사하기 위해 역사의 큰 파장을 일으켰던 곳이다. 한국 최초의 기독교 감리교회인 정동교회와 미국공사관, 이화여고, 배재학당이 이 부근에 있어 미국문화가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중심지였다. 이처럼 정동은 기독교 전파와 교육사업을 목표로 우리나라에 들어온 선교사들의 주요 활동무대였다. 그밖에 명동성당과 약현성당, 한국은행 본관 , 서울역, 천도교중앙...2024.10.05
-
수신사 파견 제1차부터 4차까지2024.09.191. 조선의 수신사 파견 1.1. 1차와 2차 수신사 강화도 조약 체결 이후 조선은 모두 4차례에 걸쳐서 수신사를 일본에 파견하게 되었다. 첫 번째 수신사로 파견된 인물은 김기수이다. 1875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김기수는 1876년 강화도 조약 체결 후 예조 참의로 임명되어 수신사에 선발되었다. 그는 76명의 사절단을 이끌고 일본에 파견되어 일본의 근대화 모습을 둘러보고 귀국 후 이를 기록한 『일동기유』를 저술하게 된다. 『일동기유』는 총 4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선을 떠나 일본에 도착하기까지의 과정, 일본에서...2024.09.19
-
명성황후에 대한 재평가2024.10.091. 명성황후에 대한 이해 1.1. 명성황후의 성장과 집권 배경 명성황후는 1851년(철종 2) 경기도 여주에서 영의정에 추증된 여흥 민씨(閔氏) 치록의 외동딸로 태어났다. 8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 밑에서 가난하게 살았으나 어려서부터 총명한 모습을 보여 주변에 알려졌다. 16세에 흥선대원군의 부인 부대부인 민씨의 추천으로 고종 비(妃)에 간택되었다. 그러나 고종은 궁인 이씨로부터 완화군을 얻고 비를 돌보지 않았으나, 명성황후는 예의범절이 밝아 칭송을 받았다. 완화군이 태어나자 대원군은 이를 기뻐하였고 명성황후는 이에 분개...2024.10.09
-
명성황후 업적 및 재평가2024.10.091. 명성황후에 대한 이해 1.1. 명성황후의 생애 명성황후의 생애는 다음과 같다. 명성황후는 여주에서 유년기를 보냈지만, 아버지 민치록(閔致祿; 1799~1858)의 죽음 이후 민유중(閔維重; 1630~1687)이 서울에서 살 때 소유했던 감고당(感古堂)에서 왕비가 될 때까지 살았다. 따라서 명성황후는 도시와 농촌의 정서를 고루 체험하며 성장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명성황후가 보수적이면서도 국제 감각을 지닌 동도서기적 정치인으로 활약하게 된 배경이 되었다. 또한 민씨 문중에서는 대를 잇기 위해 민치구(閔致久)의 아들이자 ...2024.10.09
-
한국 사진사2024.12.021. 한국 사진사 개관 1.1. 한국 사진의 시작 1.1.1. 1860년대와 1870년대의 사진 우리나라에 사진이 처음 들어온 것은 1860년대와 1870년대 무렵이다. 이의익(李宜翼)과 그의 일행, 오경석(吳慶錫), 김기수(金基秀)와 김홍집(金弘集) 등이 중국과 일본에서 초상화 사진을 찍었다. 특히 이의익과 그의 일행이 중국에서 찍은 사진은 한국인을 모델로 한 가장 오래된 사진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1866년 병인양요와 1871년 신미양요 당시 미국 해병대가 촬영한 사진들도 이 시기의 중요한 기록이다. 이처럼 이 시기의 사진...2024.12.02
-
멘지스 선교사2024.11.241.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선교 활동 1.1. 고종과 기독교 선교사 고종은 1882년 한미수호통상조약 체결 이후 기독교 선교사들에 대해 이중적인 태도를 보였다. 고종은 한편으로는 기독교가 전통적인 유교 질서를 위협하는 '사교(邪敎)'로 여겼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서구 문물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기독교 선교사들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고종은 기독교를 엄격한 법적 제재의 대상으로 규정하고자 했다. 1888년 4월에는 기독교의 내지 전파를 금지하는 조치를 내리기도 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선교사들의 포교 활동을 제한하...2024.11.24
-
흥선대원군 생애2024.10.171. 흥선대원군 - 개혁가인가, 보수주의자인가 1.1. 흥선대원군의 생애와 개혁정치 흥선대원군은 조선시대 왕족으로 정치가였다. 자는 시백, 호는 석파이며 이름은 하응이다. 영조의 5대손이며 조선 제26대 왕 고종의 아버지이다. 흥선대원군은 3대에 걸친 세도정치 아래에서 안동 김씨 가문의 비위에 거슬리지 않기 위해 무뢰한과 어울리며 구걸하는 등 어려움을 겪다가, 조대비와의 밀약을 통해 철종의 후사 없는 죽음 이후 둘째 아들 고종을 왕위에 올려 세워져 대원군에 봉해졌다. 고종이 왕이 되고 나자 흥선대원군은 왕권 강화와 개혁 정치에...2024.10.17
-
부답사 결과보고서2024.09.041. 을사조약의 배경과 전개 1.1. 을사조약의 배경 1.1.1. 일본의 조선 침략 정책 일본의 조선 침략 정책은 임진왜란 이후 약 500년 동안 지속되어 왔다. 일본은 한반도 지배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였으며, 이는 근대 일본이 서구의 문물을 받아들이면서 더욱 본격화되었다. 먼저, 1868년 명치유신을 이루면서 일본은 근대화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국력을 크게 향상시킨 일본은 대외팽창 정책을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특히 조선에 대한 지배욕구가 커졌는데, 이는 지리적 인접성과 더불어 조선이 갖고 있는 전략적 가치 때문이...2024.09.04
-
한국사 대한제국2025.01.241. 서론 1.1. 대한제국 평가에 관한 논쟁의 시발 대한제국은 일제에 의해 식민지로 전락한 망국의 한을 품고 있는 대한제국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오고 있다. 어떤 이들에게는 망국의 책임을 뒤집어쓴 채 생각하기도 싫은 '구한말(舊韓末)'의 역사로 다가올 것이고, 다른 이들에게는 일제의 국권 침탈에 맞서 저항하다 강제로 병합당한 연민의 역사로 다가오고 있다. 1970년대 '광무개혁 논쟁' 이후 대한제국 연구가 이어지면서 대한제국의 평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어 왔다. 이처럼 광무개혁 논쟁에서 논란이 거듭되면서 한국 근대사에...2025.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