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지금의 성선설 성악설 서론2024.10.081. 맹자와 순자의 성론 검토 1.1. 맹자의 성선설에 대한 비판과 옹호 1.1.1. 성선설에 대한 비판 맹자의 성선설에 대한 비판을 살펴보면, 먼저 노상균의 견해를 들 수 있다. 노상균은 맹자의 논리가 언뜻 그럴듯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논리적 타당성이 결여된 거짓명제라고 주장한다. 그 근거로 세 가지를 들고 있다. 첫째, 맹자가 말한 "그 누구든 깜짝 놀라고 측은한 마음을 갖게 될 것이다"라는 추론은 순전히 주관적인 억측에 불과하다. 불인지심은 후천적인 사회적 교육을 통해 배양되는 윤리관념이기에, 열악한 환경에 놓인 사람이나 ...2024.10.08
-
성무선악설2024.11.251. 인간의 본성에 관한 논의 1.1. 맹자의 성선설 맹자의 성선설은 인간의 본성을 논한 인성론(人性論)이다. 맹자에 따르면 인간에게는 두 가지 본성이 있는데, 하나는 동물들과 공유하는 자연적 본성이고 다른 하나는 오직 인간만이 갖는 도덕적 본성이다. 맹자는 이 도덕적 본성에 주목하여 인간의 본성이 본래 선하다고 주장하였다. 맹자는 인간이 천성적으로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사단지성(四端之性)을 지니고 있다고 보았다. 즉, 인간에게는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시비지심(是非之心)이라는 선한 마음...2024.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