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공통교양 생활법률 손해배상 미디어심리학 2학기 성인발달2024.09.271. 생활법률 1.1. 채무불이행에 의한 손해배상 1.1.1. 채무불이행의 요건 채무불이행의 요건은 다음과 같다. 채무불이행이란 계약상 의무를 다하지 않거나 불완전하게 이행한 경우를 의미한다. 민법 제390조는 "채무자가 채무의 내용에 좇은 이행을 하지 아니한 때에는 채권자는 그 손해의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채무불이행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 요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첫째, 계약상 의무가 존재해야 한다. 채무불이행의 요건으로는 우선적으로 계약관계가 성립되어야 하며, 이 계약관계에서 발생...2024.09.27
-
건설기술인 기본교육 과제 레포트2024.09.201. 중대재해 처벌법 개요 1.1. 개요 2018년 12월 11일, 한국서부발전의 사업장인 태안 화력발전소에서 한국발전기술 계약직으로 근무하는 김용균 씨(94년생)가 연료공급용 컨베이어 벨트에 끼여 숨진 사건이 일어났다. 이는 규정상 2인 1조 근무체제가 지켜지지 않아 발생한 참사로, 이러한 사고의 재발을 막고자 중대재해 처벌법이 제정되었다. 중대재해 처벌법은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일하는 모든 사람의 안전 및 보건을 확보하도록 경영책임자에게 의무를 부과한 법률이다. 경영책임자가 안전 및 보건 확보의무를 다하지 않아 중대산업재해...2024.09.20
-
민사와 형사 차이2024.10.131. 민사법과 형법의 비교 1.1. 민사법상 불법행위 1.1.1. 의의 우리 민법 제750조에서는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위법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라고 규정함으로써 고의 또는 과실, 그리고 위법행위, 손해, 위법행위와 손해 사이에서의 인과관계를 불법행위의 성립요건으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민법 제753, 754조는 책임무능력자의 책임을 부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책임능력이 불법행위의 성립요건임을 규정하고 있다. 즉, 불법행위법은 사고를 야기하는 이 세상의 숱한 행위들 중 법적으로 허용되...2024.10.13
-
민사와 형사의 차이2024.10.091. 민사법상 불법행위와 형법상 범죄행위의 비교분석 1.1. 서론 계약당사자들에게는 계약관계가 존재하므로 이에 따른 법적 규율이 제공된다. 하지만 법적 문제는 비단 계약당사자들 사이에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자동차를 운전하여 가다가 잠시 한눈을 파는 사이에 행인을 충격하여 상해를 입게 한 경우이거나, 상점 간판이 떨어져 타인의 물건을 손상한 경우에는 자동차 운전자와 행인 사이, 또는 상점 주인과 물건 소유자 사이에 미리 이러한 사고를 염두에 둔 계약관계가 존재하는 상황을 상정하기 어렵다. 이러한 계약을 체결하려 해도 계약상...2024.10.09
-
사실의 착오에서 부합이론에 대한 고찰2024.12.031. 서론 법적으로 어떠한 행동을 '처벌을 받는 범죄행위'로 격상시키기 위해선, (1) 범죄행위의 구성요건, (2) 위법성, 그리고 (3) 책임 요건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처음에 해당하는 것인 만큼, 어떠한 행위 A가 구성요건에 해당하지조차 아니한다면, 다시 말해 구성요건적 해당성이 부존하면, 그다음 절차인 위법성과 책임은 당연히 논할 필요조차 없을 것이다. 어떤 이가 구성요건에 상당하는 행위를 했다면, 일반적으로 그에겐 해당 행위에 관한 '구성요건 해당성'이 인정된다. 민법에서의 간주나 의제에 해당하진 않더라도, 통상적인 경우 그...2024.12.03
-
현대인의생활법률2024.10.311. 서론 법은 국가에 의하여 강제되는 사회생활 규범의 하나이다. 즉, 법은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면서 제기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생겨난 것이다. 따라서 법은 시간적, 장소적, 인적 효력의 타당성을 따져 그 영향이 미친다. 이에 최근에 공개수배로 우리나라를 떠들썩하게 했던 가평 계곡 살인 사건에 대해 학습범위 내에서 학습한 개념을 적용해서 생각해보도록 하겠다. 2. 현대인의 생활법률 실제 사례 분석 2.1. 가평계곡 살인사건 2.1.1. 범죄의 성립요건 범죄란 인간의 행위가 위법하고, 법에 위촉되는 책임성이 있...2024.10.31
-
임웅 형법총론2024.12.161. 사실의 착오 1.1. 의의 사실의 착오란 행위자가 주관적으로 인식하고 실현하려는 범죄사실(구성요건적 사실)과 실제로 발생한 범죄사실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즉, 행위자가 행위 시에 고의의 인식대상이 되는 실제로 발생한 구성요건적 사실(객관적 구성요건요소)을 인식하지 못한 경우이다. 따라서 객관적 구성요소가 아닌 것에 대한 착오는 사실의 착오가 아니다. 사실의 착오는 행위자의 고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고의는 모든 객관적 구성요건요소에 대한 인식을 요하는데, 사실의 착오는 이러한 인식의 전부...2024.12.16
-
사기죄2024.08.271. 서론 1.1. 사기죄의 보호법익 사기죄의 보호법익은 재산권, 즉 전체로서의 재산이라는 데 대하여는 이론이 없으나, 재산권 이외에 거래의 진실성 또는 신의성실도 본조의 보호법익이라고 볼 수 있다"" 판례는 사기죄의 보호법익이 재산권뿐만 아니라 거래의 진실성 및 신의성실도 포함한다는 입장이다. 즉, 사기죄는 개인의 재산권 침해뿐만 아니라 거래 질서를 교란시키는 행위를 처벌함으로써 거래의 안전성을 보장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기죄는 재산권 보호와 거래의 신뢰 보호라는 이중적 보호법익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1.2. 사기...20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