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성인실습일지2024.11.141. 실습 계획 및 사전학습 1.1. 응급실 실습 1.1.1. 응급실의 구조, 사용 물품, 기구, 장비 파악 응급실은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한 환자와 부상자를 수용하는 병실로 주로 1층에 위치해 있다. 응급실에서 사용하는 주요 물품 및 장비는 다음과 같다. Airway는 의식이 없거나 자발호흡이 없는 환자의 기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비이다. Ambu bag은 호흡 정지시에 사용되는 구급소생백으로 구급임상용으로 사용되는 비교적 간단한 기구를 지닌 인공호흡요법기구이다. Chest drainage set는 흉부의 관통상 또는 이물을 제...2024.11.14
-
고위험 의약품2024.11.301. 고위험 의약품 관리 1.1. 고위험 의약품 정의 고위험 의약품이란 "오류 발생 시 환자와 직원의 안전에 치명적인 위해 또는 잠재적으로 높은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거나 치료역이 좁아 부작용이 발현될 위험성이 높아, '처방, 보관, 조제, 이송, 투여, 폐기' 시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의약품"이다. 고위험 의약품에는 고농도 전해질(염화칼륨, 염화나트륨 등), 항응고제(헤파린), 인슐린 주사제, 주사용 항암제, 중등도 진정 의약품(프로포폴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약물은 투여 오류 시 환자에게 치명적인 위해를 줄 수 있기 때...2024.11.30
-
종합실습 사례2024.11.261. 사례 기반 환자 안전 사건 분석 및 개선활동 1.1. 사례 1 - 알부민 정맥주입 중 주사액 누출로 인한 조직괴사 1.1.1. 문제 및 관련 요인 분석 알부민을 정맥주입 중 주사액이 누출되면서 대상자의 피부 및 손가락 조직이 괴사되어 피부 및 손가락 등이 절단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와 관련된 문제 및 요인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측면에서 의료진은 적절한 정맥 천자 부위를 선정하지 못하였다. 정맥이 양호한 부위를 선정하지 않아 주사액이 누출되었고, 이로 인해 조직 괴사가 발생하였다. 또한 대상자에게 정맥...2024.11.26
-
종합실습 국제환자안전목표 단원병원2024.08.151. 서론 1.1. 국제환자안전목표와 환자안전 국제환자안전목표와 환자안전은 의료기관에서 환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국제환자안전목표는 의료기관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환자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시된 6대 목표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정확한 환자 확인은 환자안전 증진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부분이다. 의료기관에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때는 반드시 정확한 환자 확인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를 통해 환자 확인과 관련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안전하고 정확한 의료 서비스 제공이...2024.08.15
-
고위험 의약품 관리 및 약물 정리2025.01.041. 고위험 의약품 관리 1.1. 고위험 의약품의 정의 고위험 의약품이란 오류 발생 시 환자와 직원의 안전에 치명적인 위해 또는 잠재적으로 높은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거나 치료역이 좁아 부작용이 발현될 위험성이 높아, '처방, 보관, 조제, 이송, 투여, 폐기' 시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의약품을 말한다. 이러한 고위험 의약품은 오류 발생 시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치명적인 위험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의료기관에서는 이들 약물의 관리와 사용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1.2. 고위험 의약품 종류 및 특징 1.2.1. 고농...2025.01.04
-
환자보관용 처방전2024.09.021. 의약품 관리 1.1. 용어의 정의 표준온도는 20°C이다. 실온보관은 1~30°C 범위이다. 냉장보관은 2~8°C 범위이다. 상온보관은 15~25°C 범위이다. 냉소보관은 1~15°C 범위이며 필요 시 냉장보관으로 갈음할 수 있다. 냉동보관은 -5°C 이하이다. 비치의약품은 환자의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도에서 병동 등에 보관하여 사용하는 의약품이다. 회수의약품은 안전상의 이유로 행정당국(또는 제조업자)에 의해 회수가 결정된 의약품이다. 응급의약품은 심폐소생술 시행 시 필요한 의약품이다. 주의를 요하는 의약품은 냉장...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