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글씨체의 유통 방식2024.09.111. 고소설의 이본(異本) 1.1. 고소설의 이본의 개념 고소설의 이본(異本)이란 고소설 작품을 전사하거나 방각본, 활자본으로 간행되는 과정에서 모본(母本)과 차이를 보이는 작품을 말한다. 고소설은 18세기 이전에는 인쇄술이 미약하여 필사(筆寫)에 의해 유통되었다. 이 과정에서 필사자는 모본을 그대로 베껴 쓰기도 하였지만, 다소 다르게 필사하는 경우도 많았다. 19세기에는 고소설의 독자 수가 증가하면서 방각본이 등장하였고, 20세기 초에는 납활자를 사용한 활자본이 등장하였다. 방각본이나 활자본은 대부분 모본을 그대로 간행하...2024.09.11
-
콩쥐팥쥐 가계도그리기2024.09.211. 고소설의 개념과 특징 1.1. 고소설의 개념 고소설(古小說)의 개념은 설화가 바탕이 되어 나온 소설로, 신소설 이전까지의 소설을 지칭한다. 고소설의 개념은 장자가 말한 소설이라는 용어에서부터 출발하며, 이때의 소설은 환심을 사기 위한 꾸며진 재담이고 자질구레한 잡문을 가리킨다. 우리나라에서는 이규보가 소설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으며, 소설의 범위는 어숙권에 의해 제기되었다. 또한 이수광은 서거정의 작품과 김시습의 「금오신화」 등 18종을 소설로 들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소설의 개념과 범위가 중국과 다르지 않음을 알 수...2024.09.21
-
박씨전이 현재적 새로운 가치와 의미2024.10.151. 고소설의 개념과 특징 1.1. 고소설의 개념 고소설은 조선시대에 창작되어진 옛 이야기들을 칭하는 것이며, 갑오경장 이후의 개화사상을 담은 신소설이 등장함에 따라 그 대응개념으로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동양에서의 소설은 '중요하지 않은 잡사'의 기록을 말하며 '백운소설'에서도 이런 뜻에서 소설이라 하였다. 오늘날 소설이라 하면 서사문학의 한 장르로 인물 사건 배경을 갖춘 이야기를 말하는데, 산문으로 기록되어있다는 점에서 무가, 서사민요, 설화와 구별된다. 설화와 소설을 구별지어주는 최소한의 요건은 구비와 기록의 차이지만 소...2024.10.15
-
콩쥐팥쥐 가계도그리기2024.11.081. 고소설의 개념과 역사 1.1. 고소설의 개념 고소설의 개념은 설화가 바탕이 되어 나온 소설로, 신소설 이전까지의 소설을 지칭한다. 소설이라는 용어는 장자가 말한 "꾸며진 재담"과 "자질구레한 잡문"에서 유래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이규보가 처음 "소설"이라는 용어를 사용했고, 어숙권과 이수광 등이 소설의 범위를 제기했다. 이들은 소설을 "잡설"로 인식했기 때문에 오늘날과 같은 갈래체계로 보지 않았다. 하지만 설화와는 구분되는 소설의 특징은 기록성, 분명한 갈등양상, 서사성, 허구성 등이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을 갖춘 작품을 소설...2024.11.08
-
애정소설 유형2024.10.301. 고소설 개관 1.1. 고소설의 정의와 범주 옛 시대에 우리나라에서 우리의 문자로 써 내려간 소설을 "고전소설" 또는 "고소설"이라 한다. 주로 조선 시대의 소설을 뜻하며, 고소설의 시초를 김시습의 『금오신화』로 보기도 하고, 최치원의 『나말어초』를 시초라 보는 시각도 있다. 고소설은 신소설과 구분되는데, 이를 구분하기 위해 "고소설" 또는 "고대소설"이라 칭하였다. 소설의 진화 과정이 고소설 → 신소설 → 현대소설로 전개되었다고 볼 때, 고소설은 그 첫 단계로서의 의미가 있다. 고소설은 설화나 서사무가와 구분되며, 산문으로 ...2024.10.30
-
우리나라 민담 설화 신화를 현대화로2024.10.181. 민속문학의 개념과 종류 1.1. 한국 민속놀이의 종류 민속놀이는 민간에서 발생하여 오랜 세월동안에 전해 내려오는 그 지역의 생활 및 풍속을 반영한 놀이이다. 이러한 민속놀이는 싸움을 의미하는 경쟁의식, 흥을 돋우는 유희성, 즐김을 나타내는 오락성,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예술성을 담고 있다. 옛 문헌에 의하면 우리 민족에게는 3세기경부터 마을단위의 축제 놀이문화가 있었으며, 삼국시대의 놀이로 윳놀이, 바둑, 장기, 씨름, 석전, 주사위, 투호, 수박 등이 있었으며, 고려시대에는 더 많은 놀이들이 있었다. 또한, 민속놀이는 노는 ...2024.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