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만성중이염 케이스2024.11.191. 만성중이염 1.1. 정의 및 원인 중이염은 이관, 중이강, 유양돌기의 염증을 총칭하는 것으로, 이관과 비강, 부비동, 비인두, 기도, 기관지 등이 연결되어 있어 호흡기계 감염이 중이를 자주 감염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이염은 발병 시기에 따라 급성 중이염, 아급성 중이염, 만성 중이염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임상 증상에 따라 급성 중이염, 삼출성 중이염, 만성 중이염으로 분류할 수 있다"" 만성 중이염은 적어도 3개월 이상 중이와 유양봉소(mastoid cells)의 염증상태가 지속되는 것으로, 크게 천공성 만성 중...2024.11.19
-
중이염 사례2025.01.211. 서론 1.1. 중이염의 정의와 특징 중이염은 중이와 고막의 점막과 이관, 유양동과 유양돌기 세포에 염증이 생긴 상태이다. 이관이 짧기 때문에 어린이에서 양측으로 나타나고 성인에서는 일측으로 나타난다.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감염은 만성 중이염으로 간주된다. 급성 중이염의 55%는 폐렴구균, 인플루엔자균,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이 차지한다. 그 외 급성 중이염은 상부 호흡기 감염, 부적절한 비강호흡, 부비동염이나 비후성 아데노이드의 합병증으로 발생될 수 있으며, 신속한 치료를 통해 자연적인 고막천공을 예방할 수 있다. 삼출물을 ...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