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 책2024.10.151. 현대사회의 아픔과 갈급함에 대한 위로와 진리 1.1. 소외되어 혼자라고 느끼는 자들에게 최근 뉴스나 여러 미디어를 통해 1인 가구의 비율이 전체 인구의 3/1을 넘었다는 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이렇듯 현대사회는 점점 공동체와 집단형성주의를 벗어나 개인주의가 크게 확산되어 1인 가구의 증가와 고립주의, 개인주의로 향하는 사회적 현상은 이제는 당연한 모습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이러한 개인주의가 허다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사람들은 '외로움'이라는 심적 결핍을 크게 느끼며, 동시에 우울증과 자살 등 새로운 사회적 문제들이 ...2024.10.15
-
미국의 외교정책2024.11.121. 미국 외교정책의 두 가지 노선: 국제주의와 고립주의 1.1. 도덕주의와 실용주의의 대립 미국 외교정책에는 '도덕주의(moralism)'와 '실용주의(pragmatism)'의 대립이 존재한다. 도덕주의는 국제사회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해 미국이 문제 해결사로서 개입해야 한다는 관점이다. 반면 실용주의는 국제사회의 문제에서 미국이 실용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부분과 개입할 수 없는 부분을 구분하는 입장이다. 미국 사회 내에서 도덕주의가 강할 때 미국은 국제주의 노선을 따르게 된다. 미국이 신에 의해 선택받은 '특별한' 국가라고 ...2024.11.12
-
미국의 외교정책에 대하여2024.08.141. 미국 고립주의 외교정책의 형성과 발달 1.1. 고립주의 개념과 미국의 고립주의 정책의 형성 1.1.1. 고립주의 외교의 개념과 특징 고립주의 외교 정책은 국제정세가 자국의 경제나 안보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 경우, 국제분쟁에서 중립적인 위치를 유지하며 정치, 군사적으로 국제사회에서 고립한다는 정책이다. 이에 반해 개입주의 혹은 간섭주의는 자국의 이익을 위해 혹은 국제질서를 위해 다른 나라에 정치적, 경제적 또는 군사적으로 개입하는 정책을 말한다. 고립주의 정책의 장점은 국제분쟁이 발생할 경우 국가가 전쟁의 위협에서 비교적 ...2024.08.14
-
미술2024.09.021. 추상표현주의의 등장 배경 1.1.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경제적 번영과 고립주의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은 전쟁으로 인한 피해를 크게 입지 않은 채 전례 없는 경제적 번영을 누리게 되었다. 전쟁이 주로 유럽에서 벌어졌기 때문에 미국은 전쟁의 혼란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었다. 오히려 전쟁 복구 수요에 힘입어 1920년대 미국 경제는 큰 호황을 누리게 되었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는 "자본주의적 이상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고, 자유와 평등이라는 신대륙의 이념이 현실화될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이 팽배해졌다. 그...2024.09.02